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부/사자성어, 우리말37

투표 용어 총정리: 가결, 부결, 표결 등의 의미와 사례 투표는 의사결정을 내리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인 가결, 부결, 표결, 의결은 각각의 역할과 의미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 용어들의 뜻과 한자 의미, 영어 표현, 예문까지 상세히 정리했습니다.1. 가결 (可決)뜻: 회의나 투표에서 제안된 안건이 찬성을 받아 통과되는 것을 의미합니다.한자 뜻: 可(옳을 가) + 決(결정할 결) → "옳다고 결정함"영어 표현: Approval, Passage영어 예문:The motion was approved by the board members.→ 이사회 구성원들에 의해 그 안건이 가결되었습니다.2. 부결 (否決)뜻: 회의에서 제안된 안건이 반대되어 통과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한자 뜻: 否(아닐 부) + 決(결정할 결) → "아니라고 결정함.. 2024. 12. 7.
과거를 되돌아보는 '반추하다'의 의미와 예문 반추하다의 뜻은 과거의 일을 되새겨 생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원래는 소가 먹은 음식을 되새김질하는 행위를 뜻하는 말로, 비유적으로 사용되면서 '과거의 일이나 경험을 다시 한 번 곰곰이 생각하다'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반추하다'의 한자 뜻과 영어 뜻한자 뜻: 反 (되돌릴 반) + 芻 (꼴 추) – 되돌아가서 꼴을 씹는다, 즉 되새김질하다.영어 뜻: Ruminate. '반추하다'의 예문 10개:그는 오랜만에 고향을 방문하며 어린 시절을 반추했다.He ruminated on his childhood as he visited his hometown after a long time.그녀는 성공한 후에도 어려웠던 시절을 반추하며 겸손하게 살고 있다.Even after her success, she lives h.. 2024. 12. 1.
빠꼼이란? 상황을 꿰뚫어 보는 예리한 사람(+예문) "빠꼼이"는 사투리 표현으로 눈치가 빠르고 약삭빠르며, 어떤 상황에서도 막힘없이 대처하는 사람을 속되게 표현하는 말입니다.이런 사람은 주변 상황에 대한 이해와 대처 능력이 뛰어나며, 예리하게 파악하고,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빠꼼이"는 주로 눈치가 빠르거나 상황에 대한 이해가 탁월한 사람을 조금 가벼운 뉘앙스로 부르는 표현입니다.이 단어를 영어로 직역하기는 어렵지만, 비슷한 의미로는 "clever"라는 표현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빠꼼이"  예문들그는 모든 상황에 빠르게 적응하는 빠꼼이야.빠꼼이라서 남들이 놓치는 것까지도 다 알아챘어.우리 팀에는 빠꼼이가 있어서 복잡한 문제도 쉽게 해결해.너 정말 빠꼼이구나! 어떻게 상황을 그렇게 빨리 파악했어?그녀는 빠꼼이라서.. 2024. 11. 30.
반면교사(실패에서 배우는 현명한 지혜)의 뜻, 예문 1. "반면교사"의 뜻"반면교사"는 좋지 않은 상황이나 사람을 보고 그를 거울삼아 반성하며 배운다는 의미를 가진 말입니다.쉽게 말해, 나쁜 예시를 보고 반성하거나 교훈을 얻는 것을 뜻합니다.이는 자신이 같은 실수를 하지 않도록 타인의 실패나 잘못에서 교훈을 얻는다는 의미입니다. 2. 한자 뜻反 (반): 반대로, 거꾸로面 (면): 얼굴, 면敎 (교): 가르칠 교師 (사): 스승 사한자를 그대로 풀면 "반대의 상황을 교사로 삼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즉, 나쁜 사례를 통해 배우는 스승이라는 뜻입니다. 3. 영어 뜻영어권에서는 주로 "negative role model" 또는 "cautionary example"라는 표현이 쓰입니다. 4. 예문 10개그는 회사에서 발생한 문제를 반면교사 삼아 앞으로 더욱 신중.. 2024. 11. 19.
[맞춤법] 낯설다, 낮설다, 낫설다 중 올바른 맞춤법은 무엇인지? "낯설다", "낮설다", "낫설다"는 발음이 유사하여 올바른 맞춤법을 혼동할 수 있는 단어들입니다.이 글에서는 이 세 단어의 올바른 사용법과 의미, "낯설다"의 반대어인 "낯익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낯설다의 올바른 사용법"낯설다"는 올바른 맞춤법으로, 익숙하지 않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누군가나 어떤 것에 대해 친숙하지 않거나 새로운 환경에서 느끼는 어색함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1) 발음 : [낯설다] /nat̚.sʌl.da/2) 영어 번역 : unfamiliar, strange3) 예문 :새로운 학교에 가서 모든 것이 낯설다.(Going to a new school, everything feels unfamiliar.)오랜만에 만난 친구와도 몇 가지가 낯설다.(Even with .. 2024. 11. 17.
"두발 자유화가 '두 다리' 자유화?": 한국어 문해력 부족 사례 모음 언어라는 건 참 묘하죠. 같은 문장도 누가,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로 받아들여지기도 합니다.요즘 문해력에 대한 논란이 많은데요,특히 문해력이 부족하면, 우리가 흔히 쓰는 말도 완전히 엉뚱하게 이해할 수 있죠. 오늘은 그런 문해력 부족으로 발생한 웃지 못할 에피소드들을 소개해드릴게요! 1. "두발 자유화가 '두 다리' 자유화?"학생들에게 두발 자유화를 허용한다고 했더니, 어떤 학생은 두 다리를 자유롭게 쓰라는 의미로 받아들였다고 합니다. -> 두발자유화는 학생들이 머리 모양과 길이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입니다.    "두발"(頭髮)은 한자로 "머리 두(頭)"와 "털 발(髮)"로, '머리카락'을 뜻합니다. 2. "시장이 반찬, 시장 가면 반찬 많다?""시장이 반찬이다"라.. 2024. 11. 9.
'언감생심' 해설: 의미부터 한자, 영어 표현까지(예문포함) 1. 언감생심(焉敢生心)의 뜻한자풀이:焉(어찌 언): 어찌敢(감히 감): 감히生(날 생): 생기다, 일어나다心(마음 심): 마음따라서 언감생심은 "어찌 감히 마음이 생기겠는가"라는 뜻으로, 어떤 일을 감히 생각조차 하지 못한다는 의미입니다.이는 자신의 능력이나 처지를 자각하여 그 일을 꿈꾸거나 바랄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2. 언감생심(焉敢生心) 영어 뜻"I wouldn't dare even think about it.""I can't even think about it."3. 한국어와 영어 사용 예문그분의 자리를 내가 넘본다니, 언감생심입니다.Taking over his position? I wouldn't dare even think about it.세계적인 무대에 서는 것은 언감생심이라 생각했어요... 2024. 10. 30.
'채근하다'의 뜻 한문, 영어, 예문 '채근하다'는 어떤 사람에게 일정한 행동을 하도록 재촉하거나 독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어떤 일의 내용이나 원인 등을 자세히 캐묻는 것을 뜻하기도 합니다. 1. '채근하다' 한자 뜻:채(採): 캘 채(캐다) (to pick or gather)근(根): 뿌리 근 (root)따라서 '채근(採根)하다'는 뿌리를 캐다라는 의미에서 유래하여, 어떤 일의 내용이나 원인 등을 캐어 알아내거나,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재촉하거나 독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채근하다' 영어 뜻:PressPush3. '채근하다' 예문 10개:선생님은 학생들에게 숙제를 빨리 제출하라고 채근하셨다.그는 사건의 진상을 밝히기 위해 증인을 채근했다.상사는 직원들에게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채근했다.그녀는 남편에게 집안일을 도와달라고 채.. 2024. 10. 29.
한 번 끝난 재판은 다시 못한다? 일사부재리 원칙의 모든 것 일사부재리 원칙(一事不再理)은 한 번 판결이 확정된 사건에 대해 다시 기소하거나 처벌할 수 없다는 법률 원칙입니다. 이 원칙은 형사 소송법에서 주로 사용되며, 피고인이 동일한 사건으로 이중 처벌을 받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본적인 권리입니다. 이는 형벌의 안정성과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원칙입니다. 1. 일사부재리 원칙의 구성 요소:1) 하나의 사건: 동일한 사건이어야 합니다. 즉, 범죄 사실이나 법적 이슈가 동일한 경우에만 일사부재리 원칙이 적용됩니다.2) 최종 판결: 법원이 사건에 대해 최종적으로 판결을 내렸을 때 이 원칙이 적용됩니다. 최종 판결이 내려지지 않은 경우(예: 항소 가능 상태)에는 원칙이 적용되지 않습니다.3) 재기소 금지: 피고인이 한 번 판결을 받았다면, 동일한 사건으로 다시 기.. 2024. 10. 23.
후안무치(厚顔無恥)의 뜻과 한문, 영어, 사용예시 "후안무치(厚顔無恥)"는 "얼굴이 두껍고 부끄러움이 없다"는 뜻으로, 뻔뻔하고 부끄러움을 모르는 사람이나 행동을 가리키는 표현입니다. 다른 사람을 배려하지 않고, 자신의 잘못이나 비난받을 만한 행동에 대해 전혀 수치심을 느끼지 않는 사람에게 사용됩니다. 1. 한자 뜻- 厚(후): 두터울 후 (두껍다, 두터운)- 顔(안): 얼굴 안 (얼굴)- 無(무): 없을 무- 恥(치): 부끄러울 치 (부끄러움)한자로 풀이하면 **"얼굴이 두꺼워서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의미입니다. 2. 영어로 표현후안무치는 영어로 "shameless"등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표현들은 뻔뻔하고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3. 후안무치 사용 예시1) 그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기는커녕, 오히려 큰소리치는 .. 2024. 10. 18.
[맞춤법] 수게(O), 숫게(X), 수케(X)? 올바른 꽃게 수컷 명칭 정리 1. 수게의 정확한 표기와 발음꽃게의 수컷을 지칭하는 '수게'는 올바르게 표기하고 발음해야 합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이를 '숫게' 또는 '수케'로 잘못 표기하거나 발음하곤 합니다.올바른 표기와 발음표기: '수게'발음: [수게]잘못된 표기와 발음표기: '숫게', '수케'발음: [수께], [수케]2. 잘못된 표기의 이유'수게'를 '숫게' 또는 '수케'로 잘못 표기하는 이유는 다른 동물의 수컷 명칭에서 영향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개의 수컷: '수캐'염소의 수컷: '숫염소'이러한 표기 방식이 꽃게에도 잘못 적용되면서 '수게'가 '숫게'나 '수케'로 잘못 표기되기 시작했습니다.중세국어에서 'ㅎ'이 덧붙는 'ㅎ 곡용어'의 영향으로 '수(암)'에 'ㅎ'이 추가된 표기가 일부 단어에 남아있습니다. 하지.. 2024. 10. 14.
의성어 '사부작 사부작'의 의미와 일상 속 활용법 1. "사부작 사부작"의 뜻"사부작 사부작"은 작은 소리나 움직임을 표현하는 의성어로, 조용하고 느리게 무언가를 조금씩 움직이거나 행동하는 모습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사부작'은 큰 소리나 격렬한 동작이 아닌, 마치 혼자서 소소하게 무언가를 하거나 작은 일에 집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느긋하고 여유 있는 행동을 표현할 때 쓰입니다. 2. "사부작 사부작"의 일상 사용 예시:1) 주말에 집에서 사부작사부작 청소했다.2) 아침에 일어나 사부작사부작 준비를 하고 산책을 나갔다.3) 사부작사부작 책을 정리하고 있었다.4) 요리를 하면서 사부작사부작 재료를 준비했다.5) 사무실에서 사부작사부작 서류를 정리했다.6) 친구들과 모여 사부작사부작 얘기 나누었다.7) 주말 아침에 사부작사부작 일어나 천천히 외출.. 2024. 10. 12.
중상모략 (中傷謀略)의 뜻, 한자, 사용예시 1. 중상모략 (中傷謀略)의 뜻중상모략은 다른 사람을 근거 없이 헐뜯고 나쁜 소문을 퍼뜨리며, 그 사람의 명예나 평판을 해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허위 사실을 만들어 내거나 확대해서 누군가를 비방하고, 그를 곤경에 빠뜨리려는 의도를 담고 있습니다. 주로 정치적, 사회적, 개인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중상모략 (中傷謀略)한자 뜻- 中 (가운데 중): 중심이나 내면을 의미합니다.- 傷 (다칠 상): 손상시키거나 해치는 것을 나타냅니다.- 謀 (꾀할 모): 계책을 꾸미거나 계획하는 것을 뜻합니다.- 略 (간략할 약 / 책략 약): 계략이나 전략을 의미합니다. 중상(中傷) : 단어를 풀이하면 내면[中]에 상처[傷]라는 의미로, 겉으로 상처를 주는 것이 아니라 근거 없는 말로써 사람을 안에.. 2024. 10. 6.
명예로운 승진, "영전"의 뜻과 한문, 사용예시 "영전"이라는 단어는 더 높은 직위나 명예로운 자리로 옮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공직, 직장, 군대 등에서의 승진이나, 중요한 직책으로의 이동을 말할 때 사용됩니다. "영전하셨다"는 말은 상대방이 더 높은 자리로 승진하거나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되었을 때 축하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1. 영전의 뜻영전(榮轉): 영예로운 승진이나 이동을 뜻하는 말로, 개인이 명예롭게 더 높은 직위로 옮겨가는 것을 나타냅니다. 2. "영전(榮轉)"의 한문 뜻 - 영(榮): 영예, 명예로움을 뜻하는 한자입니다. 명예롭고 빛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轉): 이동하다, 바꾸다를 의미하는 한자입니다. "전"은 자리나 상태의 변화 또는 이동을 나타냅니다.따라서, 영전(榮轉)은 명예롭게 자리나 지위가 변화함, 즉 더 높은 직위나 중.. 2024. 10. 3.
"답보 상태"의 뜻, 영어, 예문 "답보 상태"는 어떤 일이 진전 없이 제자리걸음을 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일이 더 나아가지 못하고 멈춰 있는 상태입니다. 계획이나 프로젝트가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되거나, 멈춘 상황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1. “답보” 한자 뜻: - 답(踏): 밟다, 서다 - 보(步): 걸음즉, "답보(踏步)"는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한 자리에 서서 걸음을 떼지 않고 머물러 있는 상태"를 뜻합니다. 2. “답보” 영어 뜻:"Stalemate", "deadlock", "standstill"으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3. “답보”  예문 (한글과 영어 번역 포함):1) 회의는 몇 시간 동안 진행되었지만, 결국 "답보" 상태에 빠지고 말았다.The meeting went on for hours, but ev.. 2024. 9.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