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부/사자성어, 우리말7

'성료' 의 뜻, 사용 예시 1. '성료' 의 뜻'성료'는 어떤 일이나 행사가 성공적으로 끝남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예를 들어, "행사가 성료되었습니다"라고 하면 "행사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라는 뜻입니다. '성'은 성공을, '료'는 끝남을 나타내어, 전체적으로 일이 성공적으로 완수되었음을 표현합니다. 2. 성료의 한자어'성료'의 한자는 成了입니다. - 成 (성): 이룰 성 - 了 (료): 마칠 료따라서 '성료'는 어떤 일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음을 나타내는 한자어입니다.( =성황리에 마치다.) 3. '성료'를 사용한 예문1) 이번 프로젝트는 모두의 노력 덕분에 성료되었습니다.2) 행사가 성료되어 주최 측은 매우 만족스러워했습니다.3) 올해의 학술 대회는 많은 참가자들의 참여로 성료될 수 있었습니다.4) 연말 파티가 성료된.. 2024. 6. 22.
무위도식(無爲徒食)의 뜻, 사용예문 1. 무위도식(無爲徒食)이란?“무위도식(無爲徒食)”은 한자 성어로, 아무 일도 하지 않고 먹기만 한다는 뜻입니다. 이 성어는 주로 일을 하지 않고 빈둥거리면서 생활하는 사람들을 비난하거나 경멸할 때 사용됩니다.- 無(없을 무): 없다, 하지 않다.- 爲(할 위): 하다, 행동하다.- 徒(헛될 도): 헛되다, 아무런 가치가 없다.- 食(밥 식): 먹다, 먹을 것.즉, 이 성어는 "아무 일도 하지 않고 헛되이 먹기만 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2. 사용 예시1) 가정에서:"그는 매일 무위도식하면서 부모님께서 벌어오신 돈으로 생활한다."설명: 일을 하지 않고 부모님이 벌어온 돈으로만 생활하는 자녀를 비난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2) 직장에서:"동료들은 열심히 일하는데, 그는 무위도식하며 직장에서 시간을.. 2024. 6. 14.
새옹지마(塞翁之馬) 뜻과 유래, 한자의 뜻, 사용 예시 "새옹지마(塞翁之馬)"는 중국 고사성어로, 뜻은 어떤 일이 좋을지 나쁠지 처음에는 알 수 없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속담은 한 가지 일이 일어났을 때 그것이 좋은 일인지 나쁜 일인지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복이 화가 되기도 하고, 화가 복이 될 수도 있음.) 1.한자의 뜻: 塞(새): 국경 지대, 한계, 막다의 뜻을 가짐. 翁(옹): 노인, 나이 많은 사람을 나타냄. 之(지): ~의, ~의 것을 나타냄. 馬(마): 말, 마의 뜻을 가짐. 2. 유래 "새옹지마(塞翁之馬)"는 중국의 한 노인과 그의 말이라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속담으로, 어떤 일이 처음에는 좋은 일인지 나쁜 일인지를 판단하기 어렵고, 시간이 지나야 그 결과를 알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노인이 사는 국경.. 2024. 2. 6.
[날짜 표현] 금일/ 명일/ 작일/ 당일/ 익일 뜻, 한자, 영어, 예시 요약 1. 금일 (Today): 오늘 2. 명일 (Tomorrow): 내일 3. 작일 (Yesterday): 어제 4. 당일(the day, that day): 특정한 그날 5. 익일 (Next day): 특정한 날의 다음날 1. 금일 (Today): 1) 한자: 今日 2) 뜻: 현재의 날짜, 오늘을 가리킵니다. "今"는 현재, "日"은 날을 나타냅니다. 3) 예시: ● "금일 수업에서는 새로운 주제를 다루었습니다." ● "금일 아침에는 중요한 회의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 "금일의 일정을 정리하고 나니 시간이 빨리 가는 기분입니다." 2. 명일 (Tomorrow): 1) 한자: 明日 2) 뜻: 오늘에서 하루 후의 날짜를 가리킵니다. "명"은 다가올, "日"은 날을 나타냅니다. 3) 예시: ● "명일은.. 2024. 2. 1.
근묵자흑(近墨者黑) 뜻, 예시 뜻: 나쁜 사람과 가까이 지내면 그 버릇에 물들기 쉬움(먹을 가까이 하는 사람은 검어진다) 近 가까울 근 墨 먹 묵 者 놈 자 黑 검을 흑 '근묵자흑(近墨者黑)'은 '접촉하면 어둡게 된다'는 뜻으로, 어둠에 머무르는 사람과 함께하면 결국 어둡게 된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이 사자성어는 주로 부정한 영향력을 가진 사람이나 잘못된 행동을 하는 사람과 함께하면 올바른 판단력과 긍정적인 영향력을 잃을 수 있다는 경고의 의미에서 사용됩니다. 2023. 4. 21.
고육지책(고육지계) 뜻 뜻: 자기 몸을 희생해 적을 속이는 것.(목표를 위해 자기 몸을 희생해야 할 때) 苦 쓸 고, 肉 고기 육, 之 어조사 지, 策 채찍 책(꾀 책) 삼국지(적벽대전)에서 유래된 것으로, 조조의 대군의 배들이 뱃멀미를 피하기 위해 배들을 쇠사슬로 묶은 것을 알고, 오나라의 노장 황개가 주유와 모의해서, 이후 작전회의 시 황개가 주유의 의견에 반기를 들어 주유가 황개를 곤장형을 내린 후 황개는 주유를 욕하며 곧바로 조조에게 거짓 항복 편지를 보냄. 조조의 첩자들은 이 소식을 조조에게 보고하여, 조조는 거짓 항복에 속음. 어두운 밤에 항복하기로 약속한 황개는 배에 기름과 유황, 마른풀을 싣고 조조 군이 있는 배로 다가가 불을 질러 쇠사슬로 배를 묶은 조조군은 불길이 삽시간에 번져 대패를 하게됨. 이는 향후 조조.. 2022. 11. 14.
일모도원 뜻 뜻: 해는 저물고 갈 길은 멀고 아득함.(할일은 많은데 시간이 너무 빨리간다.) 日暮途遠 날 일, 저물 모, 길 도, 멀 원. 뜻: 해는 저물고 갈 길은 멀고 아득함. 유래 춘추시대 초나라 평왕 시대에 태자를 보필하던 오사와 비무기는 사이가 좋지 않았음. 강직한 오사를 비무기가 모함하였고, 평왕은 오사와 아들들을 잡아서 죽이지만, 아들인 오자서(伍子胥)만 오나라로 도망가서 살아남음. 이후, 힘을 키운 오자서는 초에 쳐들어가 평왕(平王)의 묘를 파헤치고 시체에 300대의 곤장을 가함으로써 원한을 풀었다. 누가 이를 지나치다고 비난하니, 「날은 저물고 갈 길은 멀고 할 일은 많다.」고 답했다 2022. 11.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