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사자성어, 우리말

"두발 자유화가 '두 다리' 자유화?": 한국어 문해력 부족 사례 모음

by 사고쓰고리뷰하고 2024. 11. 9.
반응형

언어라는 건 참 묘하죠. 같은 문장도 누가,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로 받아들여지기도 합니다.

요즘 문해력에 대한 논란이 많은데요,

특히 문해력이 부족하면, 우리가 흔히 쓰는 말도 완전히 엉뚱하게 이해할 수 있죠. 오늘은 그런 문해력 부족으로 발생한 웃지 못할 에피소드들을 소개해드릴게요!

 

1. "두발 자유화가 '두 다리' 자유화?"

학생들에게 두발 자유화를 허용한다고 했더니, 어떤 학생은 두 다리를 자유롭게 쓰라는 의미로 받아들였다고 합니다. 

-> 두발자유화는 학생들이 머리 모양과 길이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입니다.

    "두발"(頭髮)은 한자로 "머리 두(頭)"와 "털 발(髮)"로, '머리카락'을 뜻합니다.

 

2. "시장이 반찬, 시장 가면 반찬 많다?"

"시장이 반찬이다"라는 말을 듣고 어떤 이는 시장에 가면 반찬이 많다는 얘기냐며 진지하게 물어봤다는데요. 시장에 가면 반찬이 많다는 건 사실 맞긴 한데, 그 뜻은 아니죠.

-> "시장이 반찬이다"에서 '시장'은 배고픔을 의미합니다. 즉, 배가 고플 때는 음식이 별다른 반찬 없이도 맛있다는 뜻으로, 여기서 시장은 장터가 아닌 '허기'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배가고플때는 "매우 시장하다"라는 말을 쓰기도 합니다.

 

3. "사건의 시발점... 선생님 왜 욕해요!"

'시발점'이란 단어를 듣고 선생님이 욕을 했다고 오해한 학생이 있었다고 하네요. 비슷한 발음 때문에 이 단어를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하죠. 참 억울한 단어입니다...

-> 사실 '시발점'은 사건이 시작되는 지점이라는 뜻입니다.

"시발점"(始發點)은 한자로 "처음 시(始)", "필 발(發)", "점 점(點)"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시발점"은 어떤 일이 시작되거나 출발하는 지점을 뜻합니다.

 

4. "XXX를 금합니다… 금이면 좋은 거 아닌가요?"

"금지"라는 단어에서 '금'만 보고 좋은 거라고 생각한 사람도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XXX를 금합니다'를 "XXX를 하면 금(좋은 것)을 주나?"라고 해석했다고 하네요..

-> "XXX를 금합니다"는 특정 행동(XXX)을 하지 말라는 의미로, 금지한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흡연을 금합니다"는 흡연을 금지한다는 의미입니다.

"금"(禁)은 한자로 "금할 금(禁)"으로, 어떤 행동을 제한하거나 하지 못하도록 막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5. "우천시에 이곳으로 장소를 변경합니다"

"우천시"를 듣고, 우천이라는 지역이 있는 줄 알았다는 사례도 있습니다. "우천시가 어디에 있는 거냐"라고 진지하게 물었다니, 참 귀여운 오해네요.

-> 사실 '우천시'는 비가 올 때를 뜻하는 말이랍니다!

"우천시"(雨天時)는 한자로 "비 우(雨)", "하늘 천(天)", "때 시(時)"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우천시"는 비가 오는 때, 즉 비가 올 경우를 의미합니다.

"우천시"(雨天時)는 한자로  "비 우(雨)" ,  "하늘 천(天)" , "때 시(時)"

 

6. "수학여행 가정통신문에 '중식 제공'이라더니… 왜 한식이 아니죠?"

수학여행 가정통신문에 '중식 제공'이라는 문구를 보고, 한 학생이 왜 중국 음식을 주냐고 항의한 일이 있었습니다. 여기서 '중식'은 한낮의 식사, 즉 점심을 의미하는데, '중국 음식'으로 이해한 거죠.

-> "중식"(中食)은 한자로 "가운데 중(中)"과 "밥 식(食)"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중식"은 하루 중간에 먹는 식사, 즉 점심을 뜻합니다.

 

7. "교과서는 도서관 사서 선생님께 반납하세요"

한 학생이 '사서'를 직업명으로 이해하지 못하고, 진짜로 교과서를 "사서" 반납해야 한다고 생각해서 도서관에서 교과서를 구매했다고 합니다. '사서'가 도서관에서 책을 관리하는 직업이라는 걸 몰랐던 거죠...

-> "사서"(司書)는 한자로 "맡을 사(司)"와 "책 서(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사서"는 책을 관리하고 맡는 사람, 즉 도서관에서 책을 관리하는 직업을 뜻합니다.

 

8. "심심한 사과? 사과가 왜 심심하죠?"

'심심한 사과'라는 표현을 보고, 사과가 심심하다니 성의 없다는 뜻인가? 라며 오해한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서 '심심하다'는 매우 깊고 진지한 사과를 의미하는데, 너무나 한글 그대로 해석해버린 사례입니다.

-> "심심"(甚深)은 한자로 "심할 심(甚)"과 "깊을 심(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심심한 사과"에서 '심심'은 매우 깊고 진지한 뜻을 담고 있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9. "무운을 빈다… 운이 없으라고 저주하는 건가요?"

"무운을 빈다"는 말은 상대방에게 운이 따르길 바란다는 말이지만, 문자 그대로 '운이 없다'고 생각해버린 사람도 있었습니다. 운이 없길 빈다는 저주인가요? 라고 진지하게 물어봤다네요.

-> "무운"(武運)은 한자로 "호반(무예,무인) 무(武)"와 "운수 운(運)"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무운을 빈다"는 주로 군인이나 전투와 관련된 사람에게 쓰이는 표현으로, 전투에서의 행운과 안전을 기원한다는 의미입니다.

현대적 의미에서 "무운을 빈다"는 주로 위험한 임무에 나서는 사람들에게 안전하고 성공적인 임무 수행을 기원하는 말로 사용됩니다. 전투 상황이나 힘든 상황에서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10. "모집인원 O명? 그럼 왜 모집해요?"

모집 공고에 '모집인원 O명'이라는 문구를 보고 "뽑을 사람 없으면 모집은 왜 하냐?"고 질문한 사례도 있습니다. 사실은 추가 모집이 없다는 의미였는데, 그 뜻을 몰랐던 거죠.

-> 모집공고에서 "모집인원 O명"은 모집할 인원의 수가 미정임을 의미합니다. 

정확한 숫자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대체로 소수의 인원을 뽑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1명에서 9명 정도의 인원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참고) 모집공고에서 "모집인원 OO명"이라고 표시된 경우

모집공고에서 "모집인원 OO명"이라고 표시된 경우, 대체로 10명에서 99명 사이의 인원을 뽑는 것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O'는 자리수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두 자릿수의 인원 모집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11. "사흘 뒤? 그럼 4일 뒤인가요?"

'사흘'이란 단어를 보고 '사'자가 들어갔으니 4일 뒤라는 뜻인가요? 라며 착각한 사람도 있었습니다.

사실 사흘은 3일을 의미하죠!

-> "사흘"은 세 날을 의미하는 순우리말로, "사(三)"와 "흘(날)"의 결합으로 형성된 말입니다. 여기서 "사"는 '셋'을 의미하고, "흘"은 예전 한국어에서 '날'을 뜻하는 단어로, 오늘날에는 잘 쓰이지 않지만 고유어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

따라서 "사흘"은 '세 날', 즉 3일이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비슷한 예로 "나흘"(네 날 = 4일) 같은 표현도 있습니다.

 

12. "고지식하다… 지식이 높다는 거군요?"

누군가를 보고 "고지식하다"라고 했을 때, 그걸 "지식이 높다"라는 칭찬으로 받아들인 일도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고지식하다'는 융통성이 없고 완고하다는 부정적인 뜻인데, 여기서도 단어를 문자 그대로 해석한 것이죠.

-> "고지식하다"는 융통성이 없고 지나치게 원칙을 고수하며,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지 않는 성향을 의미합니다. 즉, 고집이 세고 융통성 없이 기존의 지식이나 방식을 고수하는 태도를 가리키는 부정적인 표현입니다.

 

13. 녹음? 소리 녹음이요?

동음으로 인한 어휘의 뜻을 이해못해 어휘의 뜻을 이해시키는 일이 힘듬

:녹음(여름의우거진숲)-녹음(녹음기)로이해.

-> 녹음은 여름철에 우거지고 풍성하게 자란 푸른 숲이나 자연의 녹색을 의미합니다.

녹음은 한자로 綠陰으로 표기됩니다.

  • 綠(녹): 녹색을 의미하며, 자연의 푸름을 상징합니다.
  • 陰(음): 그늘을 의미하여, 숲이 제공하는 시원한 그늘이나 어두운 부분을 나타냅니다.

 

14. 족보를 족발보쌈세트라고 알고 있었습니다.

-> 족보는 한 가문의 조상과 후손의 계보를 기록한 문서를 의미합니다. 이는 가족의 역사와 혈통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후대에 전승하는 중요한 자료로 사용됩니다.

족보는 한자로 族譜로 표기됩니다.

  • 族(족): 가족, 씨족, 가문을 의미합니다.
  • 譜(보): 기록, 명부, 악보 등을 의미하며, 여기서는 계보나 연표를 뜻합니다.

따라서 族譜는 "가문의 계보를 기록한 문서"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15. 곰탕? 우리나라에 곰이 그렇게 많나요?

곰탕을 실제로 곰(Bear)을 사용해서 곰고기로 만드는줄로 알고있어, "우리나라에 곰이 그리 많아요??"라는 질문을 받음

-> "곰"은 "오래 끓이다" 또는 "오래 끓여 내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곰탕이 소의 뼈와 고기를 오랜 시간 동안 푹 끓여 만든 국물임을 나타냅니다. 한국어 동사 "곰다"*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곰탕은 곰국이라도고 불립니다.

 

16. 금일 6시? 금요일 6시요?

금일을 금요일로 착각

->금일오늘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영어로는 "today"라고 번역할 수 있습니다.

참고 )

 [날짜 표현] 금일/ 명일/ 작일/ 당일/ 익일 뜻, 한자, 영어, 예시

 

[날짜 표현] 금일/ 명일/ 작일/ 당일/ 익일 뜻, 한자, 영어, 예시

요약 1. 금일 (Today): 오늘 2. 명일 (Tomorrow): 내일 3. 작일 (Yesterday): 어제 4. 당일(the day, that day): 특정한 그날 5. 익일 (Next day): 특정한 날의 다음날1. 금일 (Today): 1) 한자: 今日 2) 뜻: 현재의 날짜,

a-story804.tistory.com

 

17. 세로로 서있는데 왜 가로등인가요?

길거리 가로등이 세로로 서 있는데 왜 가로등이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왜?? 순간 나도 모르게 당황했고 이후 황당했던 경험

-> 가로등( "Street Light" )도로, 보도, 공원 등 공공장소의 가로에 설치된 조명 시설을 의미합니다. 주로 야간에 보행자와 차량의 안전을 위해 어두운 곳을 밝히는 역할을 합니다.

가로등은 한자로 街路燈으로 표기됩니다.

  • 街(가): 거리, 거리의 의미를 가집니다.
  • 路(로): 길, 도로를 의미합니다.
  • 燈(등): 등불, 조명을 뜻합니다.

 

18. 고가다리? 비싸게 지은 다리 인가요?

"고가 다리" 를 학생들이 비싸게 만든 다리라고 발표함.

-> 고가다리도로, 철도 등을 지면 위에 높게 건설한 다리를 의미합니다.

고가다리는 한자로 高架橋(고가교)라고 표기됩니다.

  • 高(고): 높을 고
  • 架(가): 지탱하다, 세우다 가
  • 橋(교): 다리 교

따라서 高架橋는 "높게 세운 다리"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출처: 학생 문해력 실태 교원 인식 설문조사

[별첨]+학생+문해력+실태+교원+인식조사+결과.hwp
0.55MB

 

 


참고 글)

 

 [공부/사자성어, 우리말] - 애로사항 뜻, 예문

 

애로사항 뜻, 예문

1. 애로사항  뜻어떤 일을 하는 데 장애가 되는 일의 항목이나 내용. 좁고 험한 길(隘路)을 뜻하는 애로에서 비롯된 말이다.1) 한자: 隘路事項 - 隘 (애): 좁을 애 - 路 (로): 길 로 - 事 (사)

a-story804.tistory.com

 

 [공부/사자성어, 우리말] - '낭보'(朗報)/'비보'(悲報)의 뜻과 예문

 

'낭보'(朗報)/'비보'(悲報)의 뜻과 예문

1. '낭보'의 뜻'낭보'(朗報)는 기쁜 소식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朗'는 밝을 '낭'이고, '報'는 알릴 '보'로, '밝고 기쁜 소식'을 뜻합니다. 주로 좋은 소식이나 기쁜 소식을 전달할 때 사용됩니다. 

a-story804.tistory.com

 

[공부/사자성어, 우리말] - 명예로운 승진, "영전"의 뜻과 한문, 사용예시

 

명예로운 승진, "영전"의 뜻과 한문, 사용예시

"영전"이라는 단어는 더 높은 직위나 명예로운 자리로 옮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공직, 직장, 군대 등에서의 승진이나, 중요한 직책으로의 이동을 말할 때 사용됩니다. "영전하셨다"는 말은

a-story804.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