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꼼이"는 사투리 표현으로 눈치가 빠르고 약삭빠르며, 어떤 상황에서도 막힘없이 대처하는 사람을 속되게 표현하는 말입니다.
이런 사람은 주변 상황에 대한 이해와 대처 능력이 뛰어나며, 예리하게 파악하고,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빠꼼이"는 주로 눈치가 빠르거나 상황에 대한 이해가 탁월한 사람을 조금 가벼운 뉘앙스로 부르는 표현입니다.
이 단어를 영어로 직역하기는 어렵지만, 비슷한 의미로는 "clever"라는 표현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빠꼼이" 예문들
- 그는 모든 상황에 빠르게 적응하는 빠꼼이야.
- 빠꼼이라서 남들이 놓치는 것까지도 다 알아챘어.
- 우리 팀에는 빠꼼이가 있어서 복잡한 문제도 쉽게 해결해.
- 너 정말 빠꼼이구나! 어떻게 상황을 그렇게 빨리 파악했어?
- 그녀는 빠꼼이라서 협상 테이블에서 절대 밀리지 않아.
- 그 친구는 빠꼼이라 회사에서 모든 정보를 먼저 알게 돼.
- 빠꼼이라서 그런지 눈치가 빨라서 비밀을 숨기기 어렵다.
- 상황이 안 좋아도 빠꼼이는 항상 탈출구를 찾아내.
- 빠꼼이인 그녀는 이미 새 프로젝트에 필요한 걸 다 준비해 놨더라.
이처럼 "빠꼼이"는 어떤 상황에서도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고 적응하는 능력이 뛰어난 사람을 속되게 표현하는 말로, 칭찬과 감탄의 뜻을 담고 있으며 때로는 약간의 유머를 곁들여 사용되기도 합니다.
관련 뉴스기사)
늘공 `빠꼼이` 장관이 돌아왔다…세종청사는 지금 `초긴장 모드`
'늘공' 출신 올드보이(OB)가 대거 장차관으로 귀환함에 따라 세종시 관가에 긴장감이 돌고 있다. 수십 년을 일한 경험 덕에 하나부터 열까지 꼼꼼하게 파악하고 있는 '빠꼼이' 선배들의 복귀에 국·과장들이 잔뜩 긴장하고 업무 보고에 들어가는 분위기다.
https://www.mk.co.kr/news/business/10350948
늘공 `빠꼼이` 장관이 돌아왔다…세종청사는 지금 `초긴장 모드` - 매일경제
`올드보이` 장관들의 강도높은 업무보고에 공무원들 골머리
www.mk.co.kr
[레저]''빠꼼이''들의 동남아 여행 조언
◆그럼 쇼핑은 어떻게 하지=쇼핑 강매가 싫다고 해외 여행의 즐거움 중 하나인 쇼핑을 포기할 수는 없다. 가장 중요한 노하우는 그 나라에서 즐길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고 가는 것이라고 ‘빠꼼이’들은 귀띔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0107569?sid=103
[레저]''빠꼼이''들의 동남아 여행 조언
해외여행은 즐겁다. 하지만 모르고 가면 낭패를 당하기 일쑤다. 대표적인 동남아시아 여행지인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의 문화와 관광지에 대한 정보가 ...
n.news.naver.com
참고 글)
"탈룰라"의 뜻, 유래, 사용예시(영화 '쿨러닝')
1. '탈룰라' 의 뜻, 유래"탈룰라"는 원래 영화 쿨 러닝에서 나온 대사에서 유래한 인터넷 밈으로, 상대방이 무심코 한 발언이 나중에 민망한 상황을 초래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영화 '쿨 러닝
a-story804.tistory.com
[공부/사자성어, 우리말] - 의성어 '사부작 사부작'의 의미와 일상 속 활용법
의성어 '사부작 사부작'의 의미와 일상 속 활용법
1. "사부작 사부작"의 뜻"사부작 사부작"은 작은 소리나 움직임을 표현하는 의성어로, 조용하고 느리게 무언가를 조금씩 움직이거나 행동하는 모습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사부작'은 큰 소리
a-story804.tistory.com
[신조어] "억텐/찐텐" 의 뜻, 예시, 영어로 하면?
[신조어] "억텐/찐텐" 의 뜻, 예시, 영어로 하면?
1. 억텐의 뜻과 예문억텐은 "억지 텐션"의 줄임말로, 자연스럽지 않고 억지로 높인 흥이나 에너지를 의미합니다.(억지로 텐션을 높인다)주로 예능 프로그램에서 출연자들이 분위기를 띄우기 위
a-story804.tistory.com
'공부 > 사자성어,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표 용어 총정리: 가결, 부결, 표결 등의 의미와 사례 (4) | 2024.12.07 |
---|---|
과거를 되돌아보는 '반추하다'의 의미와 예문 (1) | 2024.12.01 |
반면교사(실패에서 배우는 현명한 지혜)의 뜻, 예문 (1) | 2024.11.19 |
[맞춤법] 낯설다, 낮설다, 낫설다 중 올바른 맞춤법은 무엇인지? (0) | 2024.11.17 |
"두발 자유화가 '두 다리' 자유화?": 한국어 문해력 부족 사례 모음 (3) | 2024.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