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배출에서의 다운스트림과 업스트림]
온실가스 배출은 주로 "업스트림(Upstream)"과 "다운스트림(Downstream)" 활동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는 공급망의 다른 단계에서 발생하는 배출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데 중요한 개념입니다.
1. 업스트림(Upstream) 활동
업스트림 활동은 제품의 생산에 필요한 자원과 재료를 추출하고 제조하는 초기 단계를 포함합니다. 주로 원자재의 채굴, 추출, 처리 및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이 포함됩니다.
1) 원자재 추출 및 채굴:
광물, 석유, 천연가스 등 원자재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
- 예: 석탄 채굴, 석유 시추.
2) 원자재 처리 및 운송:
추출된 원자재를 처리하고 제조 공장으로 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
- 예: 광물 정제, 원유 정제, 원자재 운송.
3) 부품 및 제품 제조:
원자재를 부품이나 최종 제품으로 가공하는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배출.
- 예: 자동차 부품 제조, 전자 제품 조립.
2. 다운스트림(Downstream) 활동
다운스트림 활동은 제품이 생산된 후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고 사용, 폐기되는 단계를 포함합니다. 주로 제품의 유통, 사용, 폐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이 포함됩니다.
1) 제품 유통 및 운송:
제조된 제품을 최종 소비자에게 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
- 예: 제품 운송, 물류 창고 운영.
2) 제품 사용: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 발생하는 배출.
- 예: 자동차 운전 중 배출되는 배기가스, 전자 제품 사용 중 전력 소비.
3) 폐기 및 재활용:
제품의 수명이 끝난 후 폐기 또는 재활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
- 예: 폐기물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 재활용 공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사용.
3. 예시
1) 자동차 산업:
- 업스트림: 철광석을 채굴하고, 이를 철강으로 가공하여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
- 다운스트림: 완성된 자동차를 소비자에게 운송하고, 소비자가 자동차를 운전하면서 발생하는 배출, 수명이 다한 자동차를 폐기하거나 재활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
2) 전자 제품 산업:
- 업스트림: 광물(예: 리튬, 코발트)을 채굴하고, 이를 배터리로 가공하여 전자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
- 다운스트림: 소비자가 전자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 소비되는 전력에서 발생하는 배출, 전자 폐기물로 처리될 때 발생하는 배출.
[Scope 3에서의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
Scope 3 온실가스 배출은 기업이 직접 통제하지 않는 활동에서 발생하는 모든 배출을 포함합니다. 이는 공급망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배출로,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 활동으로 나뉩니다. Scope 3 배출은 종종 기업의 전체 탄소 발자국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합니다.
1. 업스트림(Upstream) 활동
업스트림 활동은 제품이나 서비스가 제조되기 전에 발생하는 배출을 포함합니다. 주로 공급망의 초기 단계에서 발생합니다.
1) 구매한 제품 및 서비스 (Purchased Goods and Services):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는 데 사용된 모든 원자재와 부품의 생산에서 발생하는 배출.
예: 의류 제조업체의 경우, 원단 생산에서 발생하는 배출.
2) 자본재 (Capital Goods):
기업이 장비, 기계, 건물 등 자본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
예: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기계류의 생산에서 발생하는 배출.
3) 연료 및 에너지 관련 활동 (Fuel and Energy Related Activities):
기업이 구매한 연료 및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 기업의 직접적 에너지 사용은 포함되지 않음.
예: 전력 생산에서 발생하는 배출.
4) 물류 및 유통 (Upstream Transportation and Distribution):
원자재 및 부품의 운송 및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
예: 원자재를 공장으로 운송할 때 발생하는 배출.
5) 폐기물 처리 (Waste Generated in Operations):
기업의 운영 중 발생하는 폐기물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
예: 생산 공정 중 발생하는 폐기물의 매립 또는 소각에서 발생하는 배출.
6) 출퇴근 및 출장 (Employee Commuting and Business Travel):
직원들의 출퇴근 및 출장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
예: 직원의 자동차 출퇴근 및 항공 출장에서 발생하는 배출.
2. 다운스트림(Downstream) 활동
다운스트림 활동은 제품이나 서비스가 소비자에게 전달된 후 발생하는 배출을 포함합니다.
1) 제품 사용 (Use of Sold Products):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 발생하는 배출.
예: 자동차 제조업체의 경우, 소비자가 차량을 운전하면서 발생하는 배출.
2) 제품의 운송 및 유통 (Downstream Transportation and Distribution):
제품이 소비자에게 운송되고 유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
예: 완성된 제품을 최종 소비자에게 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
3) 제품의 수명 종료 (End-of-Life Treatment of Sold Products):
제품의 수명이 다한 후 폐기되거나 재활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
예: 전자 제품의 폐기 및 재활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
4) 리테일 및 물류 (Downstream Leased Assets):
기업이 임대한 자산의 운영에서 발생하는 배출.
예: 리테일 매장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사용 배출.
5) 프랜차이즈 (Franchises):
프랜차이즈 운영에서 발생하는 배출.
예: 프랜차이즈 레스토랑에서 발생하는 배출.
6) 투자 (Investments):
기업이 투자한 자산에서 발생하는 배출.
예: 기업이 투자한 공장의 운영에서 발생하는 배출.
결론
Scope 3 배출은 기업이 직접 통제하지 않는 활동에서 발생하는 모든 온실가스 배출을 포함하며,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 활동으로 나뉩니다.
참고 글)
[환경] "위치기반(지역기반)(location-based) 간접온실가스 총 배출량"과 "시장기반(market-based) 간접온
[GRI 305-2. 간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 2)] 에서는 "위치기반(지역기반)(location-based) 간접온실가스 총 배출량" 과 "시장에 기반한(market-based) 간접온실가스 총 배출량"을 공시하도록 되어 있습니다.공
a-story804.tistory.com
[투자/ESG] - [환경] 배출계수(Emission Factor)란?
[환경] 배출계수(Emission Factor)란?
1. 배출계수(Emission Factor)란?“배출계수(Emission Factor)”는 특정 활동이나 공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GHG)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표준화된 지표입니다. 이는 특정 양의 활동 단위(예: 연료 사용량,
a-story804.tistory.com
'투자 > ESG'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FD는 사라지고, ISSB로 대체됩니다.(한국은 KSSB) (1) | 2024.09.10 |
---|---|
RPS(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란? (0) | 2024.08.21 |
[환경] 재자원화(재활용)란 무엇인가? (0) | 2024.07.06 |
[환경] 수질오염 지표: TOC, COD, BOD 란? (0) | 2024.06.27 |
[환경] 물 스트레스 지수(Water Stress Index)란? (0) | 2024.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