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질오염 지표: TOC, COD, BOD
수질 오염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요 지표로 TOC(Total Organic Carbon), COD(Chemical Oxygen Demand), 그리고 BOD(Biochemical Oxygen Demand)가 있습니다. 이들 지표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물 속의 유기물 오염 정도를 측정합니다.
2. TOC (총 유기탄소, Total Organic Carbon)
1) 정의:
TOC는 물 속에 존재하는 모든 유기 화합물에 포함된 탄소의 총량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2) 측정 방법:
TOC는 고온에서 물 시료를 연소시켜 이산화탄소(CO2)로 전환한 후, CO2의 양을 측정합니다. 일반적으로 적외선 검출기(IR) 또는 비분산적외선(NDIR) 검출기를 사용합니다.
3) 의미:
TOC는 모든 유기 오염원의 총합을 나타내며, 물의 오염 상태와 처리 효과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정수 처리 과정과 같은 환경 관리에 있어 중요한 지표입니다.
3. COD (화학적 산소 요구량, Chemical Oxygen Demand)
1) 정의:
COD는 물 속의 유기물을 산화시키는 데 필요한 산소의 양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이는 물의 오염 정도를 나타내며, 특히 폐수 처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2) 측정 방법:
COD는 물 시료에 강한 산화제(보통 디크롬산칼륨, K2Cr2O7)를 사용하여 유기물을 산화시키고, 소모된 산화제의 양을 측정합니다.
측정 과정은 강한 산화제를 첨가하여 물 속의 유기물을 완전히 산화시키고, 남은 산화제의 양을 적정법이나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3) 의미:
COD는 유기물 외에도 일부 무기물까지 산화시키는 경우가 있어, 총 산화 가능한 물질의 양을 나타냅니다. 이는 폐수 처리 공정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방류 기준 준수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4. BOD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 Biochemical Oxygen Demand)
1) 정의:
BOD는 물 속의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할 때 필요한 산소의 양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이는 유기물 분해 과정에서의 산소 소모량을 나타냅니다.
2) 측정 방법:
BOD는 물 시료를 일정 기간(일반적으로 5일) 동안 20°C에서 배양하고, 이 기간 동안 소모된 산소의 양을 측정하여 분석합니다.
배양 전후의 용존 산소(DO) 차이를 통해 산출됩니다.
3) 의미:
BOD는 물의 유기물 오염 정도를 나타내며, 미생물에 의해 분해 가능한 유기물의 양을 평가합니다. 이는 하천이나 호수 등의 수질 상태를 평가하고, 폐수 처리의 효과를 측정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5. 비교 및 차이점
1) 측정 대상:
- TOC: 총 유기 탄소의 양.
- COD: 화학적으로 산화 가능한 유기물 및 무기물의 총량.
- BOD: 미생물에 의해 분해 가능한 유기물의 양.
2) 측정 방법:
- TOC: 고온 연소 후 CO2 검출.
- COD: 강한 산화제 사용 후 산화제 소모량 측정.
- BOD: 일정 기간 배양 후 소모된 산소량 측정.
3) 적용 분야:
- TOC: 정수 처리 및 총 유기 오염 평가.
- COD: 폐수 처리 공정 및 방류 기준 평가.
- BOD: 자연수체의 오염 상태 평가 및 폐수 처리 효과 측정.
6. TOC, COD, BOD 측정
1) TOC (Total Organic Carbon)
- 측정 방법: 고온에서 물 시료를 연소시켜 이산화탄소(CO2)로 전환한 후, CO2의 양을 적외선 검출기(IR) 또는 비분산적외선(NDIR) 검출기를 사용해 측정.
- TMS 적용: 실시간으로 유기탄소량을 측정하여 물의 오염 상태를 평가.
2) COD (Chemical Oxygen Demand)
- 측정 방법: 강한 산화제(디크롬산칼륨 등)를 사용하여 물 속의 유기물을 산화시키고, 소모된 산화제의 양을 측정.
- TMS 적용: 연속적으로 COD를 측정하여 폐수 처리 공정의 효율성을 평가.
3)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 측정 방법: 물 시료를 일정 기간 동안 배양하고, 이 기간 동안 소모된 산소의 양을 측정.
- TMS 적용: 미생물에 의해 분해 가능한 유기물의 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참고 글)
[환경] 수질원격감시 시스템 TMS (Tele-Metering System) 란?
[투자/ESG] - [회사 부서] EHS부서 란?(ESG 관련 부서)
[회사 부서] EHS부서 란?(ESG 관련 부서)
EHS(환경, 건강, 안전, Environment, Health, and Safety) 부서는 기업 내에서 환경 보호, 작업장 건강, 안전 관리의 역할을 담당하는 중요한 부서입니다. EHS 부서는 기업 활동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
a-story804.tistory.com
[투자/ESG] - [환경] 재자원화(재활용)란 무엇인가?
[환경] 재자원화(재활용)란 무엇인가?
[재자원화(재활용)란 무엇인가?]재자원화는 유용 광물이 포함된 산업·광산 부산물 또는 사용후 제품을 회수, 분쇄, 선별, 정·제련 등 물리·화학적 공정을 거쳐 원료화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
a-story804.tistory.com
'투자 > ES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 Scope 3에서의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 설명, 예시 (0) | 2024.07.11 |
---|---|
[환경] 재자원화(재활용)란 무엇인가? (0) | 2024.07.06 |
[환경] 물 스트레스 지수(Water Stress Index)란? (0) | 2024.06.26 |
[환경] 배출계수(Emission Factor)란? (0) | 2024.06.25 |
[환경] "위치기반(지역기반)(location-based) 간접온실가스 총 배출량"과 "시장기반(market-based) 간접온실가스 총 배출량"의 정의, 차이, 계산방법(Scope 2) (0) | 2024.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