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출계수(Emission Factor)란?
“배출계수(Emission Factor)”는 특정 활동이나 공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GHG)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표준화된 지표입니다. 이는 특정 양의 활동 단위(예: 연료 사용량, 생산량 등)에 대해 얼마나 많은 양의 온실가스가 배출되는지를 나타냅니다. 배출계수는 환경 관리와 보고,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에 사용되며, 배출량을 간편하게 추정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배출계수의 정의
- 정의:
배출계수(Emission Factor): 특정 활동 단위당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양을 나타내는 값.
예를 들어, 연료 1톤을 소모할 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CO2)의 양을 kg CO2e/단위로 표현합니다.
참고) |
기업은 아래 사항을 공시해야 한다. GRI : 305 Emissions e. 사용된 배출계수와 지구온난화지수(GWP)의 원천 또는 GWP원천의 출처 |
2. 배출계수의 사용 목적
1)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복잡한 측정 장비 없이도 활동 데이터를 통해 간편하게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예: 특정 공정에서 사용된 연료의 양을 알고 있다면, 그 연료의 배출계수를 곱하여 총 배출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2) 환경 보고 및 규제 준수:
기업이나 조직은 배출계수를 사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계산하고, 이를 환경 보고서나 규제 준수를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 국제 표준화된 배출계수를 사용하여 국제 기후 협약에 따른 보고 의무를 이행할 수 있습니다.
3) 환경 관리 및 개선:
배출계수를 통해 배출원별로 배출량을 세분화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특정 배출원을 줄이기 위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3. 배출계수의 예시
1) 전력 생산:
- 석탄을 사용한 전력 생산: 1,000 kWh 당 820 kg CO2e
- 천연가스를 사용한 전력 생산: 1,000 kWh 당 490 kg CO2e
2) 연료 연소:
- 디젤 연소: 1 리터 당 2.68 kg CO2e
- 휘발유 연소: 1 리터 당 2.31 kg CO2e
3) 산업 공정:
- 시멘트 생산: 1 톤 당 700 kg CO2e
4. 배출계수의 계산 방법
배출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해당 활동 단위에 배출계수를 곱합니다.
총 배출량 (kg CO2e) =활동 데이터×배출계수
1) 예시:
한 공장이 10,000 리터의 디젤을 연소한다면:
총 배출량 =10,000 리터×2.68 kg CO2e/리터 =26,800 kg CO2e
2) 배출계수의 출처
배출계수는 다양한 기관과 출처에서 제공됩니다. 주요 출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에서 제공하는 배출계수.
-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미국 환경보호청에서 제공하는 배출계수.
- DEFRA (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 Rural Affairs): 영국 환경식품농촌사무소에서 제공하는 배출계수.
이와 같이 배출계수는 특정 활동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간편하게 추정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 입니다.
[대표적인 배출계수]
가장 대표적인 배출계수는 연료 연소, 전력 소비, 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계산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아래에 각 분야별로 대표적인 배출계수를 소개합니다.
1. 연료 연소 배출계수
1) 디젤 연소:
배출계수: 2.68 kg CO2e/L
출처: EPA - Emission Factors for Greenhouse Gas Inventories
2) 휘발유 연소:
배출계수: 2.31 kg CO2e/L
출처: EPA - Emission Factors for Greenhouse Gas Inventories
3) 천연가스 연소:
배출계수: 2.75 kg CO2e/m³
출처: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2. 전력 소비 배출계수
1) 석탄을 사용한 전력 생산:
배출계수: 820 g CO2e/kWh
출처: IEA - CO2 Emissions from Fuel Combustion
2) 천연가스를 사용한 전력 생산:
배출계수: 490 g CO2e/kWh
출처: IEA - CO2 Emissions from Fuel Combustion
3) 재생 가능 에너지를 사용한 전력 생산:
배출계수: 0 g CO2e/kWh
출처: EPA - Emission Factors for Greenhouse Gas Inventories
3. 산업 공정 배출계수
1) 시멘트 생산:
배출계수: 700 kg CO2e/톤 시멘트
출처: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2) 철강 생산:
배출계수: 1.85 톤 CO2e/톤 철강
출처: World Steel Association - Life Cycle Inventory
4. 배출계수 사용 예시
1) 디젤 연소:
한 기업이 5,000 리터의 디젤을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5,000 L×2.68 kg CO2e/L=13,400 kg CO2e
2) 전력 소비 (석탄 기반):
한 공장이 1,200 MWh의 전력을 석탄 기반 전력으로 소비한다고 가정하면,
1,200 MWh×820 g CO2e/kWh=984,000 kg CO2e=984 톤 CO2e
3) 시멘트 생산:
한 제조업체가 2,000 톤의 시멘트를 생산한다고 가정하면,
2,000 톤×700 kg CO2e/톤=1,400,000 kg CO2e=1,400 톤 CO2e
참고 글)
[환경] "위치기반(지역기반)(location-based) 간접온실가스 총 배출량"과 "시장기반(market-based) 간접온실가스 총 배출량"의 정의, 차이, 계산방법(Scope 2)
[투자/ESG] - [환경] Scope 3에서의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 설명, 예시
[환경] Scope 3에서의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 설명, 예시
[온실가스 배출에서의 다운스트림과 업스트림]온실가스 배출은 주로 "업스트림(Upstream)"과 "다운스트림(Downstream)" 활동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는 공급망의 다른 단계에서 발생하는 배출을 이
a-story804.tistory.com
[투자/ESG] - [환경]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란?
[환경]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란?
1.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탄소국경조정제도(CBAM)”는 유럽연합(EU)이 도입한 기후변화 대응 정책으로, 유럽 내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동시에 탄소 누출을 방
a-story804.tistory.com
'투자 > ES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 수질오염 지표: TOC, COD, BOD 란? (0) | 2024.06.27 |
---|---|
[환경] 물 스트레스 지수(Water Stress Index)란? (0) | 2024.06.26 |
[환경] "위치기반(지역기반)(location-based) 간접온실가스 총 배출량"과 "시장기반(market-based) 간접온실가스 총 배출량"의 정의, 차이, 계산방법(Scope 2) (0) | 2024.06.24 |
[환경] 수질원격감시 시스템 TMS (Tele-Metering System) 란? (0) | 2024.06.23 |
[회사 부서] EHS부서 란?(ESG 관련 부서) (0) | 2024.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