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질 TMS (Tele-Metering System)란?
“수질 TMS (Tele-Metering System)”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수질 오염 물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수질 관리와 환경 보호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수질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2. 주요 기능
1) 실시간 모니터링:
수질 TMS는 강, 호수, 저수지 등 다양한 수체에서 실시간으로 수질 상태를 모니터링합니다.
주요 수질 지표(TOC, COD, BOD 등)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즉각적인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2)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수집된 데이터를 중앙 서버에 저장하고 분석하여 수질 상태를 평가합니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수질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환경 규제 준수 여부를 확인합니다.
3) 경고 및 알림 시스템:
오염 물질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경고 알림을 발송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합니다.
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4) 원격 제어 및 관리:
원격으로 모니터링 장비를 제어하고, 설정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현장에 가지 않고도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어 운영 효율성을 높입니다.
5) 보고 및 기록:
자동으로 수질 보고서를 생성하여 규제 기관에 제출할 수 있습니다.
장기적인 수질 기록을 통해 환경 변화를 추적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3. 구성 요소
1) 센서 및 측정 장비: 다양한 수질 지표를 측정하는 센서(예: pH, DO, TOC, COD, BOD 등)와 데이터 로거가 포함됩니다.
2) 통신 시스템: 센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예: GSM, GPRS, 위성 통신 등)이 포함됩니다.
3) 중앙 관리 시스템: 중앙 서버에서 데이터를 수집, 저장, 분석하며, 관리 소프트웨어를 통해 데이터에 접근하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
4) 경보 시스템: 기준치를 초과하는 오염 수준이 감지되면 경보를 발생시켜 담당자에게 알립니다.
4. 적용 사례
1) 하천 및 호수 모니터링:
- 수질 TMS를 이용해 하천과 호수의 TOC, COD, BOD 농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오염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
- 오염 발생 시 신속한 대응 조치.
2) 산업 폐수 처리:
- 공장에서 배출되는 폐수의 TOC, COD, BOD 농도를 TMS로 모니터링하여, 배출 기준 준수 여부 확인.
- 규제 위반 시 즉각적인 조치 가능.
3) 상수도 관리:
- 상수도의 오염 물질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안전한 수돗물 공급 보장.
- 오염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과 조치 가능.
5. 장점
- 효율성: 원격으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어 인력과 비용 절감.
- 정확성: 지속적인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통해 정확한 수질 정보를 제공.
- 신속한 대응: 경고 시스템을 통해 오염 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음.
- 환경 보호: 수질 오염을 조기에 발견하고 대응함으로써 환경 보호에 기여.
- 관련 자료 PPT_수질 TMS 설명자료- |
참고 글)
[회사 부서] EHS부서 란?(ESG 관련 부서)
[환경] 물 스트레스 지수(Water Stress Index)란?
'투자 > ES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 배출계수(Emission Factor)란? (0) | 2024.06.25 |
---|---|
[환경] "위치기반(지역기반)(location-based) 간접온실가스 총 배출량"과 "시장기반(market-based) 간접온실가스 총 배출량"의 정의, 차이, 계산방법(Scope 2) (0) | 2024.06.24 |
[회사 부서] EHS부서 란?(ESG 관련 부서) (0) | 2024.06.18 |
[환경]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란? (0) | 2024.06.16 |
[사회] 재해율, 도수율, 강도율의 뜻 (0) | 2024.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