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물스트레스 지수(Water Stress Index)란?
“물스트레스 지수(Water Stress Index)”는 특정 지역이나 국가에서 물의 공급과 수요 간의 균형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이는 물 자원의 이용 가능성과 물 수요 간의 불일치를 나타내어, 물 자원이 얼마나 스트레스받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물스트레스 지수는 주로 물 관리와 정책 수립,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2. 물스트레스 지수의 계산 방법
물스트레스 지수는 다양한 방법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물의 공급(가용량)과 수요(사용량)를 비교하여 산출됩니다. 대표적인 계산 방법 중 하나는 다음과 같습니다:
물스트레스 지수 =연간 물 수요/연간 가용 물 자원량
- 연간 물 수요: 주거, 농업, 산업 등 모든 용도로 사용되는 총 물의 양.
- 연간 가용 물 자원량: 강수량, 지하수 등에서 얻을 수 있는 총 물의 양.
3. 물스트레스 지수의 해석
물스트레스 지수는 다음과 같은 범위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0.0 - 0.2: 낮은 물 스트레스 (물 수요가 물 공급의 20% 이하)
● 0.2 - 0.4: 중간 물 스트레스 (물 수요가 물 공급의 20% - 40%)
● 0.4 - 0.8: 높은 물 스트레스 (물 수요가 물 공급의 40% - 80%)
● 0.8 - 1.0: 매우 높은 물 스트레스 (물 수요가 물 공급의 80% - 100%)
● 1.0 이상: 극심한 물 스트레스 (물 수요가 물 공급을 초과)
4. 물스트레스 지수의 중요성
1) 정책 수립: 물 관리 정책을 수립하고 물 자원 보호 전략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2) 지속 가능한 개발: 지속 가능한 물 사용을 촉진하고,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기적인 계획 수립에 활용됩니다.
3) 환경 보호: 생태계 보호와 복원 계획 수립에 있어 필수적인 자료로 사용됩니다.
4) 경제적 영향: 물 부족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됩니다.
5. 실제 예시
- 중동 및 북아프리카: 이 지역은 극심한 물 스트레스를 겪고 있습니다. 물스트레스 지수가 1.0 이상으로, 물 수요가 물 공급을 초과하는 상황입니다.
- 유럽 남부: 중간에서 높은 물 스트레스 수준을 보이며, 물 수요가 물 공급의 40% - 80%를 차지합니다.
- 북미: 일부 지역에서는 낮은 물 스트레스를 겪고 있으나, 특정 농업 지역에서는 중간 물 스트레스 수준을 보입니다.
참고 GRI기준서 문단)
GRI : 303 Water and Effluents
303-3. 취수
지표 303-3-b에 대한 지침
물 스트레스(물부족수치)은 물에 대한 인간과 생태학적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 또는 그 부족을 말합니다. 물 스트레스는 물의 가용성, 품질 또는 접근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물 스트레스가 있는 지역을 평가하기 위한 공개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도구에는 World Resources Institute ‘Aqueduct Water Risk Atlas' 와 WWF 'Water Risk Filter'가 있습니다.
이러한 도구를 기반으로 다음 지표와 해당 임계값 중 하나를 사용하여 지역의 물 스트레스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재생 가능한 총 연간 물 공급량에 대한 총 연간 취수량 비율(즉, 물 스트레스 기준선)이 높거나(40-80%) 매우 높음(>80%).
• 물 소비량 대비 가용성 비율(즉, 물 고갈)이 보통(가문해 고갈, 최소 10%의 기간 동안 월간 고갈률 >75%), 높음(계절적 고갈, 연평균 1개월 이상 고갈률 >75%) 또는 매우 높음(지속적인 고갈, 평균 고갈률 >75%).
기관은 물 스트레스의 정의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법에 따라 물의 질이나 접근성이 아닌 양만을 설명할 때에도 이러한 지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관은 이러한 도구의 결과를 자체 평가로 보완하여 보다 세분화된 지역 수준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지역의 물 스트레스를 최소한도로 측정할 경우 집수지 수준에서 측정될 수 있습니다.
참고 글)
[투자/ESG] - [환경] 수질오염 지표: TOC, COD, BOD 란?
[환경] 수질오염 지표: TOC, COD, BOD 란?
1. 수질오염 지표: TOC, COD, BOD수질 오염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요 지표로 TOC(Total Organic Carbon), COD(Chemical Oxygen Demand), 그리고 BOD(Biochemical Oxygen Demand)가 있습니다. 이들 지표는 각기 다른 방식
a-story804.tistory.com
[투자/ESG] - [환경] 수질원격감시 시스템 TMS (Tele-Metering System) 란?
[환경] 수질원격감시 시스템 TMS (Tele-Metering System) 란?
1. 수질 TMS (Tele-Metering System)란?“수질 TMS (Tele-Metering System)”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수질 오염 물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a-story804.tistory.com
[투자/ESG] - [환경] 배출계수(Emission Factor)란?
[환경] 배출계수(Emission Factor)란?
1. 배출계수(Emission Factor)란?“배출계수(Emission Factor)”는 특정 활동이나 공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GHG)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표준화된 지표입니다. 이는 특정 양의 활동 단위(예: 연료 사용량,
a-story804.tistory.com
'투자 > ES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 재자원화(재활용)란 무엇인가? (0) | 2024.07.06 |
---|---|
[환경] 수질오염 지표: TOC, COD, BOD 란? (0) | 2024.06.27 |
[환경] 배출계수(Emission Factor)란? (0) | 2024.06.25 |
[환경] "위치기반(지역기반)(location-based) 간접온실가스 총 배출량"과 "시장기반(market-based) 간접온실가스 총 배출량"의 정의, 차이, 계산방법(Scope 2) (0) | 2024.06.24 |
[환경] 수질원격감시 시스템 TMS (Tele-Metering System) 란? (0) | 2024.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