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의 전통적인 장례식에서 3일장은 사망한 후부터 발인(장지로 시신을 옮기는 것)까지 3일 동안 진행됩니다. 이 기간 동안 고인을 추모하고 장례 절차를 준비하며, 고인의 마지막 길을 경건하게 보내기 위한 여러 의례가 행해집니다. 3일장은 각각의 일자마다 중요한 절차가 있으며, 이를 차례로 설명하겠습니다.
1. 첫째 날: 사망일 및 입관 준비
1-1. 사망 확인 및 통보
- 고인이 사망하면 가족은 사망 사실을 확인하고 병원에서 발급한 사망 진단서를 받습니다.
- 고인의 사망을 친척, 지인, 동료에게 알리고 장례 일정에 대한 준비를 시작합니다.
1-2. 염습 (수의를 입히는 의식)
- 염습은 시신을 씻기고 수의를 입히는 과정입니다. 과거에는 가정에서 염습을 진행했으나, 현대에는 장례식장에서 전문 장례 지도사가 염습을 진행합니다.
- 고인을 깨끗하게 씻긴 후, 전통적인 수의나 현대적인 장례복을 입힙니다.
- 염습이 끝난 후 시신은 입관 전까지 장례식장의 빈소에서 안치됩니다.
1-3. 빈소 차리기
- 고인의 빈소가 마련됩니다. 빈소는 장례식장에서 마련되며, 고인의 영정 사진, 향, 초 등이 준비됩니다.
- 고인의 영정 사진 앞에 상차림이 이루어지며, 조문객을 맞이할 준비가 이루어집니다.
1-4. 상주 및 가족의 예복
- 상주(가장 가까운 가족)는 상복을 입고, 이후 장례기간 동안 조문객을 맞이하게 됩니다. 상복은 주로 검정색이나 흰색으로, 예로부터 상복은 고인의 죽음을 기리며 경건한 마음을 표현하는 의상입니다.
1-5. 조문 시작
- 보통 첫째 날 저녁부터 조문객들이 고인의 빈소를 찾아와 마지막 인사를 올립니다.
- 조문객은 빈소에 들어와 향을 피우고, 고인의 영정 앞에서 절을 하며 고인을 기립니다. 이후 상주에게 위로의 말을 전합니다.
- 조문객들은 고인의 가족에게 조의금을 전달하기도 하며, 이후 음식을 나눕니다.
2. 둘째 날: 조문 및 입관식
2-1. 본격적인 조문 시작
- 둘째 날부터 본격적으로 조문객들이 고인의 빈소를 찾아와 마지막 인사를 올립니다.
- 조문객은 빈소에 들어와 향을 피우고, 고인의 영정 앞에서 절을 하며 고인을 기립니다. 이후 상주에게 위로의 말을 전합니다.
- 조문객들은 고인의 가족에게 조의금을 전달하기도 하며, 이후 음식을 나눕니다.
2-2. 입관식
- 입관식은 시신을 관에 넣는 의식을 의미합니다. 보통 장례 둘째 날 오후나 저녁에 진행됩니다.
- 입관 전, 시신이 한 번 더 정리되고, 가족들이 마지막으로 시신을 볼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집니다.
- 입관 후 시신은 관 속에 안치되고, 관의 뚜껑을 닫습니다. 이때 상주 및 가족들이 관을 감싸는 과정에 참여하여 고인을 마지막으로 배웅합니다.
2-3. 입관 후 의례
- 입관식이 끝나면 가족과 가까운 친지들이 관을 둘러싸고 기도하거나 묵념을 통해 고인을 추모합니다.
- 입관이 끝난 후, 상주는 다시 조문객을 맞이하게 됩니다.
3. 셋째 날: 발인 및 장지로 이동
3-1. 발인식
- 발인식은 3일장 중 가장 중요한 의식입니다. 발인은 고인의 시신을 관에 담아 장지로 옮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 발인식은 보통 오전에 진행되며, 가족, 친지, 지인들이 참석하여 고인의 마지막 길을 배웁니다.
- 발인식은 고인이 안치된 관이 장례식장에서 나오는 것을 시작으로, 고인의 혼이 이승을 떠나는 것을 상징합니다.
3-2. 영구차로 장지 이동
- 발인식이 끝난 후, 고인의 관은 영구차에 실려 장지로 옮겨집니다. 이 과정에서 상주 및 가족들은 영구차를 따라가며 고인의 마지막 길을 배웁니다.
- 장지는 매장지나 화장터로 결정되며, 현대에는 화장 후 유골을 납골당에 안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3. 장지에서의 의례
- 장지에 도착하면 고인의 관을 화장하거나, 매장지에 묻습니다.
- 화장일 경우, 화장이 끝난 후 유골함이 가족에게 전달되고, 납골당에 안치됩니다.
- 매장일 경우, 고인의 관이 무덤에 내려지고 흙을 덮습니다. 이때 가족들이 직접 흙을 뿌리며 고인을 마지막으로 배웁니다.
3-4. 하관식
- 장지에서의 의례가 끝나면 하관식을 진행합니다. 하관식은 고인의 관을 매장지에 내려놓는 의식으로, 이 과정에서 가족과 친지들이 고인을 마지막으로 기리며 기도하거나 절을 합니다.
3-5. 마무리
- 모든 절차가 끝난 후 가족은 상복을 벗고, 장례의 마무리를 진행합니다.
- 일부 가족들은 상을 치른 후 제사나 기념식을 통해 고인을 추모하기도 합니다.
3일장 절차 요약
- 첫째 날 (사망 당일):
- 사망 확인 및 장례 준비
- 염습 및 빈소 마련
- 상주가 상복을 입고 조문객 맞이 준비
- 둘째 날:
- 조문객 맞이 및 조문
- 입관식 진행
- 가족 및 친지들이 고인의 시신을 관에 안치
- 셋째 날:
- 발인식 및 영구차로 장지 이동
- 화장 또는 매장
- 하관식 및 장례 마무리
이러한 통상적인 장례식의 절차는 전통과 현대적 요소가 결합된 형태로 진행되며, 각 가정이나 종교적 신념에 따라 절차와 형식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참고 글)
[일상정보] - 장례를 보통 3일장으로 하는 이유와 유래
[뉴스.생각.사회] - 베르테르 효과란?: 자살 보도의 위험성과 사회적 영향
[뉴스.생각.사회] - 장례식 직접 치러보니, 알게 되는 것들
장례식 직접 치러보니, 알게 되는 것들
장례식 직접 치러보니, 알게 되는게 좀 있네요 20일 토요일 사망 21일 입관 22일 발인 아버지 돌아가시고 상주 직접 겪어보니 느끼게 된 두 가지입니다 1. 조문객이 와서 아무것도 안하고 가
a-story804.tistory.com
728x90
반응형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혼 후 알아야 할 필수 정보: 남자가 부인(와이프)의 가족을 부르는 호칭 정리 (1) | 2024.10.21 |
---|---|
암게 vs 수게: 육안으로 쉽게 구분하는 방법 &제철 및 금어기 정보 (3) | 2024.10.14 |
장례를 보통 3일장으로 하는 이유와 유래 (2) | 2024.10.13 |
호텔조식에서 즉석주문하는 계란요리 종류(+영어로 계란요리 주문하기) (2) | 2024.10.08 |
[신조어] "엄근진"의 뜻, 사용예시 (6) | 2024.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