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장례를 보통 3일장으로 하는 이유와 유래

by 사고쓰고리뷰하고 2024. 10. 13.
반응형

한국에서 보통 장례식을 3일장을 치르는 이유와 유래는 전통적인 장례 문화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3일장은 한국의 대표적인 장례 절차로, 사망 후 장례식이 3일에 걸쳐 진행되는 형태를 말합니다.

이와 관련된 이유와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유교적 장례 문화

- 유교의 영향: 한국의 장례 문화는 오랜 세월 동안 유교의 영향을 받아 왔습니다. 유교에서는 조상을 공경하는 의미에서 장례 절차를 매우 중시했고, 장례는 엄숙하고 경건하게 진행되어야 한다고 여겼습니다. 3일장은 이러한 유교적 예법에서 비롯된 것인데, 유교적 의식에서 죽음 이후 3일이 지나면 시신을 매장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여겼습니다.

- 3일 동안의 준비와 의례: 유교적 예법에 따르면, 죽은 자의 혼이 떠나고 이 세상에서 완전히 이별하기까지 시간을 두고 여러 의례를 진행해야 한다고 여겼습니다. 그래서 3일 동안은 고인의 죽음을 알리고 친지, 지인들이 문상을 할 수 있도록 장례 기간을 두고, 그 후에 장지를 정하고 매장하는 절차를 밟게 되었습니다.

 

 

2. 전통적인 장례 절차

- 염습과 발인: 전통적으로 장례는 사망 당일 또는 그 다음날 시신을 씻기고 입관하는 '염습' 과정을 거칩니다. 이후 3일째 되는 날, '발인(출상)'이라는 절차를 통해 고인의 시신을 장지로 옮기고 매장합니다.

- 혼백이 떠나는 시간: 옛 전통에서는 죽은 사람의 혼백이 사망한 지 3일째 되는 날 이승을 완전히 떠난다고 믿었습니다. 따라서 3일째 되는 날 장례를 마무리하며, 고인의 혼을 저승으로 보내기 위한 여러 의례를 함께 치렀습니다.

 

 

3. 수도교통의 이유

- 시간적 여유: 옛날에는 교통과 통신 수단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먼 거리에 사는 가족과 친지들이 고인의 사망 소식을 듣고 장례에 참여하기까지 시간이 걸렸습니다. 따라서 3일장을 통해 장례 일정을 3일 정도로 잡아 멀리 있는 친지들이 올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 교통의 불편함: 과거에는 시신을 옮기기 위한 교통수단이 마땅하지 않았기 때문에, 매장을 위한 준비와 이동을 위한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적당한 시간이 3일 정도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4. 조문 기간

- 조문 기간: 장례식이 3일 동안 이어지는 이유는 조문객이 찾아와 고인에게 마지막 인사를 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이 기간 동안 가족과 친지들은 조문객을 맞이하고, 고인을 기리는 시간을 가지게 됩니다.

- 의례적 장례절차: 3일 동안 장례가 진행되며, 고인의 안녕을 기원하는 다양한 의례가 행해집니다. 첫날은 염습과 입관, 둘째 날 까지는 조문객을 맞이하는 기간, 셋째 날은 발인과 매장 또는 화장을 진행합니다.

3 일 동안 장례가 진행되며 ,  고인의 안녕을 기원하는 다양한 의례가 행해집니다 .  첫날은 염습과 입관, 둘째 날 까지는 조문객을 맞이하는 기간, 셋째 날은 발인과 매장 또는 화장을 진행합니다.

반응형

5. 3이라는 숫자의 상징성

- 숫자 3의 상징성: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문화권에서는 숫자 3이 완전함을 상징하는 숫자로 여겨졌습니다. 유교 경전에도 숫자 3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삶과 죽음의 순환에 있어서도 3이라는 숫자는 하나의 완성 주기라고 여겨졌습니다. 따라서 장례식도 3일 동안 진행되는 것이 자연스럽게 자리 잡았습니다.

 

 

6. 한국에서 장례를 3일장으로 하는 이유 요약

한국에서 3일장을 치르는 이유는 유교적 장례 문화와 전통적인 의례에서 기인한 것으로, 사망 후 고인을 기리고, 조문객을 맞이하며, 시신을 매장하기까지의 절차를 적절히 수행하기 위한 기간입니다. 또한, 교통 수단의 제약과 숫자 3의 상징성도 이 기간이 3일로 자리 잡는 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참고 글)

 

 [뉴스.생각.사회] - 장례식 직접 치러보니, 알게 되는 것들

 

장례식 직접 치러보니, 알게 되는 것들

장례식 직접 치러보니, 알게 되는게 좀 있네요  20일 토요일 사망  21일 입관  22일 발인 아버지 돌아가시고  상주 직접 겪어보니 느끼게 된 두 가지입니다 1. 조문객이 와서 아무것도 안하고 가

a-story804.tistory.com

 

[일상정보] - 각 종교의 기원(기독교, 이슬람교, 카톨릭교, 불교, 힌두교, 유대교)

 

각 종교의 기원(기독교, 이슬람교, 카톨릭교, 불교, 힌두교, 유대교)

전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종교”religion" (/rɪlɪdʒ.ən/) 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기독교 (Christianity): - /krɪs.tiæn.ə.ti/세계에서 가장 많은 신자 수를 가지고 있으며, 예수 그리스도

a-story804.tistory.com

 

독립운동가 중 '의사(義士)'와 '열사(烈士)'의 뜻, 차이점('의사(義士)'는 Doctor가 아니에요...)

 

독립운동가 중 '의사(義士)'와 '열사(烈士)'의 뜻, 차이점('의사(義士)'는 Doctor가 아니에요...)

독립운동가들 중 '의사'와 '열사'라는 칭호는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 두 단어는 모두 독립을 위해 헌신한 분들을 가리키지만, 그 의미와 사용되는 맥락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은 '의사'

a-story804.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