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의 가족이나 친척을 지칭하는 호칭은 결혼한 남자가 아내의 가족을 부를 때 사용하는 예의 있는 표현들로 구성됩니다. 이를 모르고 처가에 가면 자칫 낭패를 당할수 있습니다.
아래는 부인의 가족을 지칭하는 호칭들을 정리한 목록입니다:
1. 부인의 가족을 지칭하는 호칭
- 장인어른(丈人)/ Father-in-law : 아내의 아버지를 지칭하는 호칭.
- 장모님(丈母)/ Mother-in-law : 아내의 어머니를 지칭하는 호칭.
- 처남(妻男)/ Brother-in-law : 아내의 남동생을 지칭하는 호칭.
- 형님: 아내의 오빠. or 처형의 남편.
- 처형(妻兄)/ Sister-in-law : 아내의 언니를 지칭하는 호칭.
- 처제(妻弟)/ Sister-in-law : 아내의 여동생을 지칭하는 호칭.
- 매부(妹夫)/ Brother-in-law : 아내의 여동생(처제)의 남편을 지칭하는 호칭. 매부는 "처남의 아내"인 "처제의 남편"을 지칭합니다.
- 처조카: 아내의 형제나 자매의 자녀(조카)를 지칭하는 호칭.
- Niece-in-law: 아내의 형제나 자매의 딸 (처조카 중 여자).
- Nephew-in-law: 아내의 형제나 자매의 아들 (처조카 중 남자).
2. 추가 설명
- 처가: 아내의 친정을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아내의 부모나 가족이 사는 집을 부를 때 사용됩니다.
- 사돈: 자녀의 결혼으로 맺어진 두 집안 사이의 관계에서, 남편이 아내의 부모를 지칭할 때 사용하는 호칭이기도 합니다.
- 장모님(장인어른)의 어머니(아버지)? :
장모님(장인어른)의 어머니(아버지)를 부르는 공식적인 호칭은 따로 정해진 것이 없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외할머니와 비슷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공손하게 부를 때는 할머님 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즉, 아내의 외가 쪽 조부모님을 부를 때 남편은 주로 장인어른의 어머니(아버지)나 장모님의 어머니(아버지)를 할머님 이라는 호칭으로 부르거나, 가정에 따라 다양한 존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영어에서는 brother-in-law(Sister-in-law)라는 일반적인 표현을 사용합니다. 이는 가족 관계에서 남편(아내)과 결혼으로 인해 형성된 모든 남자(여자) 가족들을 포괄하는 표현입니다.
참고 글)
[공부/영어공부] - 음력과 양력을 영어로. "lunar calendar"와 "solar calendar"
음력과 양력을 영어로. "lunar calendar"와 "solar calendar"
음력과 양력은 영어로 각각 "lunar calendar"와 "solar calendar"라고 합니다. 아래는 각각에 대한 예문과 해석입니다. 1. Lunar Calendar (음력)1) 예문: "The Chinese New Year is determined by the lunar calendar."해석: "중
a-story804.tistory.com
만 나이 계산법 및 변화사항 소개
Q1.만 나이는 어떻게 계산할까요? 올해 생일부터는 : 이번 연도 - 출생 연도 = 현재 나이 예) 2023- 1993 = 30세 올해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 이번 연도 - 출생 연도 - 1= 현재 나이 예) 2023 - 1993-1=29세 Q
a-story804.tistory.com
[일상정보] - 동사무소, 주민센터, 행정복지센터의 차이점
동사무소, 주민센터, 행정복지센터의 차이점
요약- 동사무소: 주로 행정업무를 담당하는 기관.(~2007년)- 주민센터: 행정서비스와 함께 다양한 복지 및 문화 프로그램을 제공. (2007년~2016년) - 주민자치센터: 주민자치위원회에서 운영하는 문
a-story804.tistory.com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자생존 (Survival of the fittest)와 약육강식 (Law of the jungle)의 의미와 유래 (4) | 2024.10.24 |
---|---|
결혼 후 알아야 할 필수 정보: 여자가 남편의 가족(시댁)을 부르는 호칭 정리 (1) | 2024.10.22 |
암게 vs 수게: 육안으로 쉽게 구분하는 방법 &제철 및 금어기 정보 (3) | 2024.10.14 |
3일장 장례 절차 알아보기: 첫째 날부터 발인까지의 과정 (1) | 2024.10.14 |
장례를 보통 3일장으로 하는 이유와 유래 (2) | 2024.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