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elf life," "expiration date," 그리고 "best before"는 모두 제품의 상태와 안전성을 표시하기 위한 날짜입니다. 그러나 이들은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 각 용어의 차이를 예시와 함께 설명하겠습니다.
1.Shelf Life (유통 기한):
● 정의: 제품이 가게 선반에서 판매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기간.
● 예시: 가공식품, 캔디, 음료수 등.
● 설명: 제품이 개봉되지 않았고, 적절한 보관 조건에서 보관될 경우 해당 기간 동안 품질이 유지됩니다.
2.Expiration Date (만료일, 유통기한)( =expiry date(영국) ) :
● 정의: 제품이 안전하게 소비될 수 있는 마지막 날짜.
● 예시: 음식류, 의약품 등.
● 설명: 이 날짜 이후에는 제품의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만료일 지나면 제품의 성분이 변질되거나 부패할 수 있습니다.
3.Best Before (최적 사용 기한):
● 정의: 제품이 최상의 맛과 품질을 보장하는 기간.
● 예시: 신선한 식품, 과자, 간편식품 등.
● 설명: 이 날짜 이후에도 제품이 안전하게 섭취 가능하나 최상의 품질을 보장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맛과 질감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4. 각 용어의 예시:
● Shelf Life: 과자의 유통 기한은 6개월입니다. 개봉 전에는 6개월 동안 신선함을 유지합니다.
● Expiration Date: 우유의 만료일은 2023년 5월 1일입니다. 이 날짜 이후에는 소비가 권장되지 않습니다.
● Best Before: 샐러드 드레싱의 최적 사용 기한은 2023년 8월까지입니다. 이후에도 소비 가능하나 최상의 맛을 보장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Shelf Life는 유통 가능한 기간, Expiration Date는 안전성이 보장되는 마지막 날짜, Best Before는 최상의 품질을 보장하는 기간을 나타냅니다.
+ 추가)
유통기한(Shelf Life)이란?: 유통기한(Shelf Life)은 제품의 유효기간(Expiration Date)과 다름.
저장 수명이 지난 후에는 식품 사용이 가능할 수 있지만 식품 유효 기간이 지난 후에는 더 이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식품의 날짜표기에는 최상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한, 판매 기한, 사용 권장 기한, 안전 사용 기한 등 다양한 날짜가 표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날짜 표기를 사용할 때에는 각 날짜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제품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올바른 해석이 필요합니다.
● 대표적인 영문 공개날짜 표기법의 종류
공개날짜는 식품 라벨에 표시되며 균일한 기준이 없어 여러 가지 종류의 표기법이 혼합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1) Best if Used By/Before: 이는 식품의 최상의 맛과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간을 나타냅니다. 'Best if Used By/Before'는 판매 기간이나 안전 사용 기간을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2) Sell-By: 이 날짜는 식품이 판매가능(판매대에 진열)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시점을 나타냅니다. 'Sell-By'는 안전 사용 기간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3) Use-By: 이는 식품의 권장 사용 기간을 의미합니다. 다만, 영아 조제식품을 제외하고는 안전 사용 기간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식품 포장 시 자발적으로 표기하는 경우, 판매자는 임의로 날짜를 변경하거나 지울 수 없으며, 포장일, 'Sell-By' 날짜, 'Use-Before' 날짜 중 어떤 것을 표기했는지 명시해야 합니다.
참고 글)
[제약회사] 품질 관련 직무 중 QA(Quality Assurance)와 QC(Quality Control)의 뜻, 하는일, 차이점
[제약회사] 품질 관련 직무 중 QA(Quality Assurance)와 QC(Quality Control)의 뜻, 하는일, 차이점
결론: QC(Quality Control, 품질 관리): 결과물을 가지고 실험을 주로 함. QA(Quality Assurance, 품질 보증): 법률규제 등에 따른 문서작업을 주로 함. 1. QA(Quality Assurance, 품질 보증) QA는 'Quality Assurance'의 줄
a-story804.tistory.com
[제약회사] PMS(Post Market Surveillance; 시판 후 조사)
[제약회사] PMS(Post Market Surveillance; 시판 후 조사)
PMS(Post Market Surveillance; 시판 후 조사) 약사법 및 식약청에서 정한 ‘신약 등의 재심사기준’에 따라 신약 시판 후 4~6년 동안 6백~3천례의 환자에 대해 병원 등에 조사를 의뢰해 자료를 수집, 해당
a-story804.tistory.com
[건강] - 건강검진 관련 추천/비추천 항목/검진센터 고르는 법
건강검진 관련 추천/비추천 항목/검진센터 고르는 법
아래 글은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영상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검진센터 및 검진병원 선택하는 방법 영상의학과, 내과 전문의가 있고, 해당 전문의가 직
a-story804.tistory.com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 종교의 기원(기독교, 이슬람교, 카톨릭교, 불교, 힌두교, 유대교) (0) | 2024.05.29 |
---|---|
이메일 및 카톡 겨울 안부인사 말 모음 40개 (0) | 2024.02.27 |
[제약회사] 품질 관련 직무 중 QA(Quality Assurance)와 QC(Quality Control)의 뜻, 하는일, 차이점 (0) | 2024.02.02 |
휴민트 (HUMINT - Human Intelligence)의 뜻 (1) | 2024.01.25 |
연도표시를 일본에서 사용하는 연호(元号)와 서기(西暦)로 표기하는것의 차이, 이유 (0) | 2024.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