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ESG

과불화화합물(PFCs)에 대한 Q&A_식품의약품안전처

by 사고쓰고리뷰하고 2024. 6. 13.
반응형

Q 과불화화합물이 란 무엇인가요?

과불화화합물은 탄화수소의 기본 골격 중 수소가 불소로 치환된 형태의 물질로, 탄소가 6개 이상인 과불화술폰산류와 탄소가 7개 이상인 과불화지방산류 및 그 염류 등 여러 가지 화합물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PFOA와 PFOS가 있습니다.

  

Q 과불화화합물은 어디에 사용되나요?

과불화화합물은 계면활성제의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열에 강하고, 물이나 기름 등이 쉽게 스며들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성이 있어, 산업계 전반에 걸쳐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습니다.

눌음방지(non-stick)코팅 조리기구와 같은 프라이팬, 냄비 등에 사용되는 불소수지 제조 시 PFOA가 가공보조제로 사용된 바 있습니다.

 

 

Q 과불화화합물은 어떤 위험성이 있나요?

과불화화합물은 자연적으로 잘 분해되지 않는 특징(난분해성)을 갖는 잔류성유기 화합물질의 일종으로 자연계나 체내에 축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체내에서 안정성이 높아 과불화화합물의 일종인 PFOA PFOS의 경우, 인체에 대한 반감기* 3.8~5.4년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Q 불소수지 코팅 프라이팬에 과불화화합물이 얼마나 들어 있나요?

유해논란이 되어 왔던 과불화화합물의 일종인 PFOA는 프라이팬의 코팅재로 사용되는 불소수지의 제조 시 가공보조제로서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PFOA를 사용하지 않는 제조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코팅원료인 불소수지에 PFOA가 들어 있어도 프라이팬 코팅공정 중 430°C 정도에서 소성과정올 거치기 때문에 PFOA가 잔류되어 검출될 가능성 낮음

 

 

Q 불소수지(PTFE)를 섭취했을 때 문제는 없나요?

불소수지는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므로,쉽게 분해되거나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프라이팬이나 냄비에서 떨어진 불소수지 조각 등을 실수로 먹는다 하여도 체내에서 흡수가 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되므로 인체에 대한 위해가 발생할 우려는 거의 없습니다.

대표적인 불소수지인 PTFE는 국제암연구소에서 GROUP 3 (인체발암 비분류 물질)로 인체에 발암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된 바 있습니다.

 

 

Q 코팅된 프라이팬 사용 시 주의사항은?

불소수지가 코팅된 프라이팬은 날카로운 금속올 사용하면 금속코팅이 벗겨지거나 흠집이 생겨 이물질이 낄 우려가 있으므로, 조리 시에는 목재, 합성수지제 등 부드러운 재질의 뒤집개룰 사용하고, 세척 시에도 부드러운 수세미와 주방세제 등올 이용하여 세척하는 것이 좋습니다.

 

 

Q 프라이팬 외 과불화화합물로 문제가 되었던 제품은 무엇이 있나요?

외국(미국 등)에서 PFOA를 생성할 수 있는 물질이 식품용 종이포장제의 코팅재로도 사용되어 논란이 된 바 있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 폴리에틸렌(PE)으로 코팅된 포장제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우려할 필요는 없습니다.

 

 

Q 조리기구 중 과불화화합물 기준 규격은 어떻게 되나요?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프라이팬 등 불소수지 코팅 주방기구에서 PFOA 검출수준은 불검출 1.6ppb(평균 0.034ppb) 수준으로 낮았으며, 안전성 평가 결과 식품용 기구로부터 이행되는 양은 일일섭취한계량(TDI)* 대비 0.003%로 안전하였습니다.

따라서, 기준 규격을 설정할 필요성은 낮습니다.

*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 어느나라도 조리가구 중 과불회화합물에 대한 가준규격을 설정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 국내 모니터링 자료에 의하면 식품을 통한 PFOA PF0S2I 인체 노출수준온 일일섭취한계량 대비각각 0.3% 1 %로 안전한 수준이었습니다. ('15 위해평가보고서)

* 일일섭취한계랑 : 평생 동안 섭취해도 건강상 유해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편단되는 양

 

출처:식품안전나라_식품안전지식

https://www.foodsafetykorea.go.kr/portal/board/boardDetail.do?menu_no=3120&bbs_no=bbs001&ntctxt_no=1062369&menu_grp=MENU_NEW01

 

식품안전나라

[카드뉴스] 과불화화합물에 대한 Q&A 해당 정보를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www.foodsafetykorea.g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