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무위도식(無爲徒食)이란?
“무위도식(無爲徒食)”은 한자 성어로, 아무 일도 하지 않고 먹기만 한다는 뜻입니다. 이 성어는 주로 일을 하지 않고 빈둥거리면서 생활하는 사람들을 비난하거나 경멸할 때 사용됩니다.
- 無(없을 무): 없다, 하지 않다.
- 爲(할 위): 하다, 행동하다.
- 徒(헛될 도): 헛되다, 아무런 가치가 없다.
- 食(밥 식): 먹다, 먹을 것.
즉, 이 성어는 "아무 일도 하지 않고 헛되이 먹기만 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2. 사용 예시
1) 가정에서:
"그는 매일 무위도식하면서 부모님께서 벌어오신 돈으로 생활한다."
설명: 일을 하지 않고 부모님이 벌어온 돈으로만 생활하는 자녀를 비난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2) 직장에서:
"동료들은 열심히 일하는데, 그는 무위도식하며 직장에서 시간을 낭비한다."
설명: 직장에서 일하지 않고 빈둥거리는 직원을 비판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사회적 맥락에서:
"젊은이들이 무위도식하지 않고 사회에 기여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설명: 사회의 젊은이들이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지내는 것을 경계하며, 더 나은 행동을 촉구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학교에서:
"학생들이 무위도식하며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학업에 정진해야 한다."
설명: 학생들이 공부를 하지 않고 빈둥거리며 시간을 보내는 것을 경계하며, 학업에 집중할 것을 촉구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5) 친구와의 대화에서:
"너는 언제까지 무위도식할 거니? 이제는 제대로 된 일을 찾아봐야 하지 않겠어?"
설명: 친구가 오랫동안 일을 하지 않고 빈둥거리고 있을 때, 그 친구에게 일자리를 찾아야 한다고 충고하는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6) 정치적 맥락에서:
"정부는 국민들이 무위도식하지 않고 자립할 수 있도록 일자리 창출에 힘써야 한다."
설명: 정부가 국민의 경제적 자립을 위해 일자리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무위도식은 비난의 의미로 사용되며, 주로 게으름이나 비생산적인 행동을 지적할 때 쓰입니다.
'공부 > 사자성어,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춤법] "일일이(O)"와 "일일히(X)"중 맞는 말은? (0) | 2024.06.28 |
---|---|
'성료' 의 뜻, 사용 예시 (2) | 2024.06.22 |
[맞춤법] '있음'과 '있습니다'. 있슴(X), 있읍니다(X) (1) | 2024.06.05 |
[맞춤법] "갔다," "갖다," "같다"의 차이, 사용 예시 (0) | 2024.05.31 |
새옹지마(塞翁之馬) 뜻과 유래, 한자의 뜻, 사용 예시 (1) | 2024.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