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미디어

슬래셔 무비(Slasher Movie)란?(뜻, 대표영화)

by 사고쓰고리뷰하고 2025. 1. 8.
반응형

슬래셔 무비(Slasher Movie)는 공포 영화의 하위 장르로, 주로 잔혹한 살인과 긴장감 넘치는 추격 장면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 장르의 영화에서는 보통 무자비한 살인마(킬러)가 등장하며, 그의 타깃이 되는 피해자들이 도망치거나 싸우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1. 슬래셔 무비의 특징

1) 살인마(킬러)

킬러는 대개 정신적으로 불안정하거나 비극적인 과거를 가진 인물로 묘사됩니다.

가면이나 독특한 의상을 통해 정체가 숨겨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로 칼, 도끼, 전기톱 같은 도구를 사용해 살인을 저지릅니다.

13일의 금요일 - 스틸컷(제이슨)

2) 피해자와 생존자

피해자 그룹은 주로 10대나 젊은 성인으로 구성되며, 한 명 이상의 생존자가 마지막까지 킬러와 대결합니다.

생존자는 종종 강인한 여성 캐릭터, 즉 "파이널 걸(Final Girl)"로 표현됩니다.

13일의 금요일 - 스틸컷

3) 긴장감 조성

밀폐된 공간이나 외진 지역에서 벌어지는 사건이 많아 공포감을 극대화합니다.

예측 불가능한 전개와 갑작스러운 점프 스케어(Jump Scare)(*)가 자주 등장합니다.


(*) 점프 스케어(Jump Scare)

"점프 스케어(Jump Scare)"는 공포 영화나 게임에서 주로 사용되는 연출 기법으로, 갑작스러운 소리나 비주얼로 관객이나 플레이어를 놀라게 하는 장면을 말합니다.

보통 긴장감이 조성된 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순간에 등장하여 큰 충격을 줍니다.

<점프 스케어의 특징>

1) 갑작스러운 변화

- 평온하거나 긴장감이 쌓인 순간에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소리, 이미지, 혹은 움직임으로 관객의 감각을 자극합니다.

- 예: 조용한 장면에서 갑자기 화면에 괴물이 튀어나오거나 문이 쾅 닫히는 소리가 나는 것.

2) 음향 효과 활용

- 점프 스케어에서 음향은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갑작스러운 고음의 효과음이나 비명 소리로 놀라움을 극대화합니다.

3) 시청자의 예상을 뒤엎음

- 관객이 "지금 뭔가 나올 것 같다"고 예상하는 순간 대신, 예상치 못한 타이밍에 연출됩니다.


<점프 스케어의 영화 예시>

  1. 영화 《컨저링》(2013)
    • 한밤중에 아이가 장롱을 바라보고 있을 때, 갑자기 위에서 귀신이 튀어나옵니다.
  2. 영화 《할로윈》(2018)
    • 주인공 뒤에서 살인마가 조용히 나타나는 장면은 점프 스케어의 정석입니다.

슬래셔 무비의 어원

'슬래셔(slasher)'는 영어 동사 'slash'(베다, 자르다)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는 칼이나 날카로운 도구로 잔인하게 공격하는 행위를 묘사하며, 이 장르 영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살인 방식을 의미합니다.

슬래셔 무비의 개념은 고전 문학과 연극에서부터 시작된 공포 요소에서 발전했으며, 현대적으로는 1960년대와 70년대에 본격적으로 형성되었습니다.

  • 기원: 1960년 "알프레드 히치콕의 사이코"와 "1974년 텍사스 전기톱 살인사건"이 초기 슬래셔 무비로 간주됩니다.
  • 이후 1978년 "할로윈"이 큰 성공을 거두며 본격적인 슬래셔 장르의 전성기를 열었습니다.

반응형

흥행한 슬래셔 무비 10선

다음은 역사적으로 흥행하거나 팬들에게 사랑받은 대표적인 슬래셔 영화입니다:

 

1. 스크림 (Scream, 1996)

한 고등학생과 그녀의 친구들이 정체불명의 가면을 쓴 살인마 '고스트페이스'의 표적이 됩니다. 살인마의 정체를 파헤치며 생존을 위해 싸우는 이야기.

https://www.youtube.com/watch?v=_G3FEagYjo4

 

2. 나는 네가 지난 여름에 한 일을 알고 있다 (I Know What You Did Last Summer, 1997)

졸업을 앞둔 청춘들이 우연히 사고로 한 남성을 치어 죽입니다. 1년 후, 그들에게 살인마의 협박과 복수가 시작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H-LWFkTDHI

 

3. 스크림 2 (Scream 2, 1997)

전작의 생존자인 시드니가 대학에 입학하지만, 캠퍼스에서 새로운 '고스트페이스'에 의한 연쇄 살인이 벌어집니다.

 

4. 해피 데스데이 (Happy Death Day, 2017)

대학생 트리가 자신의 생일날 살해당하는 하루를 반복하며, 타임루프 속에서 킬러의 정체를 파헤치는 과정을 그립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qxeCgUq1S3A

 

5. 프레디 vs 제이슨 (Freddy vs. Jason, 2003)

꿈속의 살인자 프레디 크루거와 캠프장의 학살자 제이슨 보히스가 서로 싸우는 대결로, 무고한 희생자가 그들의 전쟁에 휘말립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1bDg3gYbp8

 

6. 추격자 (2008)

줄거리: 여성들을 잔인하게 살해하는 연쇄 살인범과, 그를 쫓는 전직 형사의 숨 막히는 추격전을 그립니다.
특징: 현실적인 공포와 잔혹한 연출로 한국 관객들에게 큰 충격을 안겼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PaB_g3yGm8

 

7. 악마를 보았다 (2010)

줄거리: 약혼자가 연쇄 살인마에게 희생된 후, 정보국 요원이 범인을 찾아 복수하면서 벌어지는 처절한 대결을 다룹니다.
특징: 잔인한 복수와 잔혹한 살인이 교차하며 강렬한 슬래셔 무비의 정서를 담아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QCFXCnZ1lvQ

 


참고 글)

 

디스토피아(Dystopia)란 무엇인가? 디스토피아 세계관 영화

 

디스토피아(Dystopia)란 무엇인가? 디스토피아 세계관 영화

1. 디스토피아(Dystopia)란 무엇인가?"디스토피아(dystopia)"는 이상적이고 행복한 사회를 의미하는 유토피아(utopia)의 반대 개념으로, 매우 부정적이고 비참한 사회 상태를 나타냅니다. 디스토피아는

a-story804.tistory.com

 

 영화 속 전형적인 클리셰의 뜻.(익숙하지만 예측 가능한 순간들)

 

영화 속 전형적인 클리셰의 뜻.(익숙하지만 예측 가능한 순간들)

1. 클리셰의 뜻“클리셰(Cliché)”는 영화나 문학, 음악 등 다양한 예술 작품에서 자주 사용되는 상투적인 장면, 대사, 설정, 플롯 등을 의미합니다. 클리셰는 처음 사용될 때는 참신하거나 감동적

a-story804.tistory.com

 

 영화와 소설에서 자주 쓰이는 "복선 vs 클리셰"의 차이

 

영화와 소설에서 자주 쓰이는 "복선 vs 클리셰"의 차이

복선과 클리셰는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두 용어 모두 이야기 구조에서 사용되지만, 그 의미와 용도는 크게 다릅니다. 각각의 정의를 자세히 살펴보면 차이를 명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1. 복선

a-story804.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