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선 중 명태( Pollock )는 한국에서 사랑받는 대표적인 어종으로, 다양한 가공 방식과 상태에 따라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립니다.
각기 다른 이름은 명태의 처리 과정과 보관 방법에 따라 구분되며, 그 특성에 맞는 다양한 요리에 활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명태의 다양한 종류와 그 특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명태의 다양한 종류
1. 생태 (生態)
- 생태는 어획 직후 신선하게 보관된 명태를 말합니다.
- 생태는 주로 구이, 찜, 탕 등 신선함을 살린 요리에 사용됩니다.
2. 동태 (凍臺)
- 동태는 명태를 어획 후 급속 냉동하여 보관한 형태입니다. 얼린 상태로 유통되기 때문에 신선도를 오랜 기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동태는 찌개, 탕, 조림, 등 여러 요리에 활용됩니다.
3. 코다리 (乾鱈)
- 코다리는 명태를 완전히 건조하지 않고 반쯤 말려 꾸덕꾸덕하게 만든 반건조 명태입니다. 북어보다 수분이 더 남아 있어 꾸덕하고 쫀득한 식감을 유지합니다.
- 볶음, 찜, 탕, 냉면 요리 등 다양한 한식에 사용되며, 간장이나 고추장에 절여 반찬으로도 인기가 많습니다.
4. 북어 (乾物)
- 북어는 명태를 완전히 건조시킨 형태로, 태양 건조나 저온 건조 과정을 통해 만들어집니다.
- 북엇국, 북어채 무침 요리 등에 사용됩니다. 조리 전 물에 불려 사용합니다.
5. 황태 (黃鱈)
- 북어중에 겨울철 야외에서 얼고 녹는 과정을 반복하며 건조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노란색 살이 부풀어 오른명태를 황태라고 합니다.
- 황태국, 황태해장국, 황태찜, 볶음 요리 등 다양한 전통 요리에 활용됩니다. 조리 시 별도의 불림 과정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6. 먹태 (食鱈)
- 먹태는 명태를 건조하면서 황태를 만드는 과정에서 황태 말리는 과정에서 따스한 날씨로 인해 색이 거무스름하게 변하여 질이 떨어진 것을 먹태라고 합니다.
- 구이 등 다양한 한식에 사용되며, 간장이나 고추장에 절여 반찬으로도 인기가 있습니다.
7. 노가리 (幼鱈)
- 노가리는 명태의 새끼를 일컫는 말입니다.
- 노가리는 주로 간식으로 먹거나, 술안주로 즐겨 먹습니다.
결론:
명태는 그 상태에 따라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립니다.
갓 잡은 명태는 생태라고 하며,
이를 얼리면 동태가 됩니다.
생태를 반쯤 말리면 코다리로 변환되고,
추운 겨울 동안 얼렸다 녹였다를 반복하면 황태가 됩니다.
황태를 말리는 과정에서 따뜻한 날씨가 이어지면 색이 어두워져 먹태로 변하며,
완전히 말리면 북어라고 부릅니다.
또한, 명태의 새끼는 노가리라 칭합니다.
참고 글)
[일상정보] - 호텔조식에서 즉석주문하는 계란요리 종류
호텔조식에서 즉석주문하는 계란요리 종류
호텔에서 제공되는 즉석 계란 요리는 일반적으로 고객이 선호하는 방식에 맞춰 다양한 스타일로 제공됩니다. 이러한 요리들은 조식 뷔페에서 가장 인기 있는 메뉴 중 하나로, 호텔 셰프들이 고
a-story804.tistory.com
[일상정보] - 밀가루 박력분, 중력분, 강력분의 차이 및 보관방법
밀가루 박력분, 중력분, 강력분의 차이 및 보관방법
밀가루는 글루텐 함량에 따라 박력분, 중력분, 강력분으로 나뉩니다. 각 밀가루 종류와 그 특징, 그리고 사용요리, 보관방법을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박력분 (Cake Flour) 1) 특징- 글루텐 함
a-story804.tistory.com
[건강] - 참외씨 버리지 마세요 !(과일별 먹어도 좋은씨 나쁜씨)
참외씨 버리지 마세요 !(과일별 먹어도 좋은씨 나쁜씨)
과일 먹을때, 씨를 먹어야 하나 말아야하나 걱정이 많이 되는데요. 특히 참외씨는 달달해서 먹는사람마다 의견이 분분합니다. 과연 참외씨를 먹어야되는지 말아야 되는지? 그럼, 다른 과일 씨는
a-story804.tistory.com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률] 계약서에 지장을 찍어도 되는가? 지장 사용의 법적 효력 (0) | 2024.11.29 |
---|---|
2024년 경찰·소방공무원 및 의무경찰 등 공무원 봉급표 (1) | 2024.11.24 |
파운드(lb),온스(oz)와 킬로그램(kg) 비교: 변환 비율과 실제 적용 (5) | 2024.11.07 |
[신조어] '쿨찐'과 '쿨병'의 뜻, 어원, 예시 (1) | 2024.11.05 |
쉽게 이해하는 삼투압 현상: 일상 속 과학 이야기 (0) | 2024.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