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이란 무엇인가요?
채권은 정부나 기업 등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일종의 차용증서입니다. 투자자는 채권을 구매함으로써 발행자에게 돈을 빌려주고, 그 대가로 일정 기간 동안 이자(쿠폰 이자)를 받습니다. 만기가 되면 원금도 돌려받게 됩니다.
금리와 채권 가격의 관계
핵심 원리: 시장 금리가 오르면 기존 채권의 가격은 떨어지고, 시장 금리가 내리면 기존 채권의 가격은 오릅니다.
왜 금리와 채권 가격은 반비례 할까요?
1. 금리가 오를 때 채권 가격이 떨어지는 이유
- 예시 상황:
- 당신은 액면가 1,000만 원, 쿠폰 이자율 3%인 채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매년 30만 원의 이자를 받습니다.
- 그런데 시장 금리가 5%로 올랐습니다.
- 투자자들의 생각:
- 새로 발행되는 채권은 5% 이자를 제공합니다. 즉, 같은 1,000만 원 투자로 매년 50만 원의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그렇다면 누가 매년 30만 원 이자를 주는 기존 채권을 1,000만 원에 사려고 할까요?
- 결과:
- 기존 채권을 팔려면 가격을 낮춰야 합니다.
- 채권 가격이 떨어져야 새로운 투자자들이 해당 채권을 매입할 동기가 생깁니다.
2. 금리가 내릴 때 채권 가격이 오르는 이유
- 예시 상황:
- 당신은 동일한 채권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번에는 시장 금리가 1%로 떨어졌습니다.
- 투자자들의 생각:
- 새로 발행되는 채권은 1% 이자를 제공합니다. 즉, 1,000만 원 투자로 매년 10만 원의 이자를 받습니다.
- 그러나 당신이 보유하고 있는 채권은 매년 30만 원의 이자를 줍니다.
- 결과:
- 투자자들은 더 높은 이자를 주는 당신의 채권을 사고 싶어합니다.
- 수요가 증가하므로 채권 가격이 올라갑니다.
3. 쉽게 정리하면 채권과 금리의 관례는 아래와 같습니다.
- 금리 상승 시:
- 새로운 채권의 이자율 ↑ ⇒ 기존 채권의 매력 ↓ ⇒ 기존 채권 가격 ↓
- 금리 하락 시:
- 새로운 채권의 이자율 ↓ ⇒ 기존 채권의 매력 ↑ ⇒ 기존 채권 가격 ↑
4. 추가적인 이해를 위한 비유
만일, 채권을 집이라고 생각해보세요.
- 금리가 오르면: 새로운 집들이 더 저렴하게 나오기 시작합니다. 그러면 기존 집의 가격을 낮춰야 팔 수 있겠죠.
- 금리가 내리면: 새로운 집들이 더 비싸게 나오기 시작합니다. 그러면 기존 집의 가치가 올라갑니다.
5. 금리와 채권 가격의 관계 요약 표
구분 | 금리 상승 시 | 금리 하락 시 |
시장 금리 변화 | 금리 상승 (예: 3% → 5%) | 금리 하락 (예: 3% → 1%) |
새로운 채권 이자율 | 더 높은 이자율 제공 (예: 5%) | 더 낮은 이자율 제공 (예: 1%) |
기존 채권 이자율 | 상대적으로 낮은 이자율 유지 (예: 3%) | 상대적으로 높은 이자율 유지 (예: 3%) |
투자자들의 생각 | - 새로운 채권이 더 높은 이자 제공 | - 새로운 채권이 더 낮은 이자 제공 |
- 기존 채권의 매력 감소 | - 기존 채권의 매력 증가 | |
투자자들의 행동 | 기존 채권을 사기 위해 가격 인하 요구 | 기존 채권을 사기 위해 더 높은 가격 지불 의사 |
채권 가격 변화 | 기존 채권 가격 하락 | 기존 채권 가격 상승 |
채권 수요와 공급 변화 | 수요 감소 → 공급 과잉 | 수요 증가 → 공급 부족 |
참고 글)
[투자/시사.경제용어] - 엔 캐리 트레이드(円キャリートレード, Yen Carry Trade)란 무엇인가?
엔 캐리 트레이드(円キャリートレード, Yen Carry Trade)란 무엇인가?
1. 엔 캐리 트레이드(円キャリートレード, Yen Carry Trade)란 무엇인가?엔 캐리 트레이드란 일본 엔화의 저금리를 활용하여 투자 수익을 창출하는 금융 거래 전략을 의미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a-story804.tistory.com
듀레이션의 중요성: 금리 변동이 채권 가격에 미치는 영향(예시 포함)
https://blog.naver.com/alpha_804/223599179181
듀레이션의 중요성: 금리 변동이 채권 가격에 미치는 영향(예시 포함)
채권의 듀레이션은 만기, 쿠폰 금리, 이자율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미국 국채(U.S...
blog.naver.com
[투자/시사.경제용어] - TRS, PRS의 뜻, 예시
TRS, PRS의 뜻, 예시
TRS(총수익스와프, Total Return Swap)와 PRS(주가변동스와프, Price Return Swap)의 개념과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TRS (Total Return Swap, 총수익스와프)1) 정의:TRS는 "총수익매도자"가 기
a-story804.tistory.com
'투자 > 주식투자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명언_ 작성중 (0) | 2024.06.07 |
---|---|
시장의 타이밍을 예측하지 말자 (2) | 2024.01.11 |
코스피의 PBR밴드로 저점.고점 판단하기 (0) | 2024.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