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정보

[광고용어] RPM이란 무엇인가?

사고쓰고리뷰하고 2024. 9. 6. 00:10
반응형

"RPM"은 블로그나 광고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로, "Revenue Per Mille"의 약자입니다. 여기서 "Mille"는 라틴어로 ""을 의미하며, 따라서 RPM은 "천 회당 수익"을 의미합니다.

구체적으로, 광고가 1,000회 노출될 때 발생하는 수익을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1. RPM의 자세한 설명

1) 정의와 계산 방법:

RPM은 블로그나 웹사이트에서 광고를 게재할 때 그 광고가 1,000번 노출될 때마다 얻는 예상 수익을 의미합니다.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RPM=(수익 / 총 노출 수)×1,000

예를 들어, 광고로 5,000번 노출되어 10달러의 수익이 발생했다면, RPM

(10 / 5,000)×1,000 =2달러가 됩니다.

 

2) 용도:

RPM은 광고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를 통해 광고주나 블로거가 특정 광고 형식이나 위치가 얼마나 수익성이 있는지 비교할 수 있습니다.

이는 블로그의 광고 수익을 분석하고 최적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광고주가 특정 광고 배치를 통해 더 높은 RPM을 달성하면,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3) 차이점:

- CPM (Cost Per Mille): 광고주가 광고를 1,000번 노출시키기 위해 지불하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반면, RPM 1,000번 노출당 얻는 수익을 의미합니다.

- CTR (Click-Through Rate): 클릭당 광고 수익이 아닌, 1,000번 노출당 수익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RPM CTR과는 다른 지표입니다.

 

4) 중요성:

RPM은 블로거나 콘텐츠 제작자들이 자신의 콘텐츠가 얼마나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광고 배치나 콘텐츠가 더 효과적인지 평가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5) 예시:

만약 어떤 블로거가 하루에 10,000번의 광고 노출을 통해 50달러의 수익을 얻었다면, 이 블로거의 RPM 5달러가 됩니다.

RPM은 블로그 운영자와 광고주 모두에게 중요한 수익 지표로, 광고의 효율성과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블로거나 웹사이트 운영자는 광고 전략을 최적화하고, 더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참고 글)

 

728x90
반응형